저축의 증가세와 안정 기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금년초의 저축 동향은 매우 고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부 발표에 의하면 금년 1·4분기 (1∼3월) 중 저축 증가액은 3천8백91억원으로서 작년 동기의 증가액 2천3백60억원에 비해 64·9%가 늘어났다는 것이다. 이러한 저축 증가의 요인을 재무부는 물가의 안정과 세제를 중심으로 한 과감한 저축 유인의 마련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저축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특히 금년부터 시작되는 4차 5개년 계획은 국내 저축의 비중을 크게 높여 잡고 있다. 4차 5개년 계획의 성패는 연평균 24·2%로 잡은 국내 저축 목표를 얼마큼 달성하느냐에 달렸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 저축 목표는 4차 5개년 계획의 조기 달성 방침에 따라 더 높여야 할 형편이다.
이러한 여건에서 4차 5개년 계획 1차연도 1·4분기의 저축 실적이 좋은 「스타드」를 보였다는 것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문제는 저축의 증가 추세가 장기적으로 정착할 수 있느냐 인데, 재무부는 장기성 저축의 증가 경향으로 보아 앞으로의 저축 전망도 매우 낙관하고 있는 듯 하다.
장기성인 금전 신탁이 금년 1·4분기 중에 2백94억원이 늘어 작년 동기보다 2·6배나 더 많고 생명보험·은행의 장기성 예금도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또 중산층 재산 형성 저축은 처음 실시된지 1년 동안에 3천3백억원의 계약고를 올려 봉급자 가계가 절약과자제로 저축을 하겠다는 강력한 의사 표시를 했다는 것이다.
재산 형성 저축의 급증 추세로 보아서 한국은 소득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축 성향이 낮다는 이제까지의 인식을 바꾸어야할 것 같다. 저축하려는 마음은 강하지만, 「인플레」의 누진과 적절한 저축 수단의 미비 때문에 실제 저축 실적이 부진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살아온 경험을 통해 저축을 하는 것이 환물 투기를 하는 것보다 항상 손해라는 것을 실감했기 때문에 장기 저축을 꺼려온 것이다.
따라서 장래의 물가 안정에 대해 신뢰를 할 수 있고 저축 수단이 보다 다양화해지며 금융기관 창구가 더 낮아질 수 있다면 저축 증가의 잠재력은 많다고 보아야겠다.
사실 6·25동란을 통한 전시 「인플레」와 「오일·쇼크」 이후의 물가 광란의 와중에서 많은 정직하고 성실한 사람들이 손해를 보았다. 이때의 악몽이 아직 완전히 가셔진 것은 아니나 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저축 의욕이 높아가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저축 의욕을 확고한 정책으로 뒷받침하여 고율 저축 풍토로 바꾸는 것이 정부의 소임이라 할 것이다.
「오일·쇼크」 후의 물가 광난이 고비를 넘기고 재형 저축 「채늘」이 마련되자마자 저축 증가가 두드러졌다는 것은 국민들이 안심하고 저축할 수 있는 풍토를 목마르게 갈구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보아야겠다. 정부는 최근의 저축 급증을 단지 계수상의 실적으로 자부하지말고 안정 기조에 대한 국민의 강렬한 기대의 표시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는 바로 정부를 믿고 저축을 한 성실한 사람들에 대한 정부의 무거운 빚이기도 하다.
이와 아울러 안정 기조에 대한 정부의 확고한 소신을 보다 다져야겠다. 아직도 안정 기조의 정착화에 대해선 의문이 많다.
금년들어 재연되고 있는 「아파트」 투기 등이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 또 1·4분기중 통화량이 7백12억원이나 늘어 작년 동기의 3백24억원에 비해 2배 이상 격증했으며, 통화 증가율이 연율 33%에 이르고 있다는 것은 결코 반가운 조짐일 수가 없다. 금년 1·4분기의 저축 증가가 단지 통화 격증 때문이었다면 저축 실적 자체가 사상 누각 밖에 안된다.
어떻든 1·4분기중의 저축 증가를 하나의 기폭제로 삼아 정부는 저축 분위기의 조성에 더욱 책임감을 느끼고 안정 기조의 정착에 강력한 소신과 행동을 보여야겠다. 정부를 믿고 저축을 하는 성실한 사람들이 오히려 손해보는 사태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아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