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계수기」다시 달아야만 하나|한국노사문제연구회서 공청회|공익사업인 버스사업 공영제가 바람직|안내양 인권보장위해 부활은 잘못된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국노사문제 연구협회(회장 박책산·서울중구을지로3가 241의1)는 26일 「계수기 문제에 관한 공청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대부분 최근 다시 부활할 움직임을 보이고있는 서울시내「버스」계수기를 철폐해야하며 「버스」안내양의 인권유린등을 막기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계수기부활을 위한 노사간의 합의설에 대해 ▲직접적인 피해자인 「버스」안내양의 참여 없는 합의는 무의미하며 ▲모처럼 행정지시로 철폐된 계수기를 부활, 한달만에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처사는 있을수 없다고 밝혔다.
김현산 교수(명지대)는 안내양을 참여시킨 「운임관리위원회」를 설치, 요금삥땅문제에 대한 대책을 협의하고 공익사업인「버스」사업의 공영제도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정책적인 배려를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심한 몸수색으로 자살소동까지 벌인 안내양의 참여없는 노사합의는 있을수 없다』고 주장하고 안내양들은 하루 18∼20시간씩 혹사당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처우개선없이는 「서비스」개선을 기대할수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시민들의 일상이용수단인 「버스」사업을 개인에 맡기지 말고 교통공채나 교통세를 신설하는 한이 있어도 「버스」업의 공영제를 정립해야한다는 의견도 냈다.
한국노사연구협회 김성해연구위원은 개수기철폐에 따른「버스」사업의 경영개선을 위해 ▲지입제의 폐지 ▲주요노선별「버스」회사통합 ▲출퇴근시간에 승차인구비율로 주요지점 배차 ▲승차권제도 실시등을 제안했다.
김씨는 또 안내양의 근로조건개선을 위해 ▲노동계약체결 ▲1일2교대 9시간노동, 1주일씩 주야교대근무 ▲월급제실시 ▲야간근로수당지급등으로 계수기가 등장한 근본원인을 제거해야한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