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골목 헤매지 마세요 … 소방차 전용 '내비' 만들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디지털 소방지도 작동 모습. [사진 서울시]

지난해 2월 17일 저녁 인사동 ‘먹자골목’에 불이 났다. 불은 다닥다닥 붙어 있는 건물을 타고 빠르게 확산됐다. 소방차 60대가 출동했지만 골목이 좁은 데다 주차된 차까지 있어 접근할 수 없었다. 소화용수를 어디서 끌어올 수 있는지조차 파악하기 힘들었다. 결국 화재 발생 1시간30분 만에 식당 19채가 불탔다. 30년이 넘은 서민의 선술집 ‘육미집’도 사라졌다.

 인사동 화재 후 서울시는 디지털 소방안전지도 제작에 들어갔다. 북촌한옥마을과 경복궁 서쪽 한옥마을 등 화재에 취약한 서울시내 도로가 100곳이 넘는다는 지적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20일 화재 현장의 통합정보를 실시간 전송해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소방안전지도를 공개했다. 시에 따르면 화재 발생 시 소방관은 출동과 함께 태블릿PC로 인근 도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어떤 크기의 소방차가 진입할 수 있는지, 어떤 경로를 택해야 하는지를 현장 도착 전에 알 수 있다. 건물의 평면도를 통해 내부 동선을 미리 점검할 수도 있다. 건물과 그 인근 소화용수의 위치도 포함돼 있다. 시 관계자는 “소방차 통행곤란지역 473곳과 전통시장·사회복지시설·쪽방 등 화재취약시설 1676곳 등의 정보를 기존의 화재진압작전도에 통합해 안전지도에 담았다”고 설명했다. 시는 우선 전용단말기 30대를 23개 소방서 지휘차에 배치했다.

  이 전자 지도로 소방로에 주차된 자동차나 공사 상황도 알 수 있다. 거주정보도 담겨 있어 거동이 힘든 장애인(1262명)에 대한 구호 조치도 빨라진다. 현장에 투입된 소방관에겐 GPS도 장착한다. 건물 붕괴 등의 사고로 소방관이 매몰됐을 경우 정확한 구조 활동을 펼치기 위해서다.

강인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