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타까운 생활고 자살 없도록 복지역량 결집

중앙일보

입력

최근 서울에 이어 경기도 광주와 동두천에서도 생활고와 신병을 비관한 자살이 잇따르자 경기도가 찾아가는 복지시스템을 더욱 확대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역량을 결집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4일 무한돌보미 2만5천명 확대, ‘복지그늘 발굴팀’ 신설 등을 내용으로 하는 ‘복지사각지대 해소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안타까운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도는 먼저 어려운 이웃에 대한 제보체계 다변화를 위해 지역 사정에 밝은 통장과 이장, 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된 무한돌보미를 현재 1만2천명에서 2만5천명으로 확대 위촉키로 했다.개인 집을 방문하는 우체국 집배원, 한전, 도시가스 검침원 등과도 업무협약을 체결해 우편물 누적이나 전기세 체납자 등 잠재적 수급대상자를 시·군에 제보하는 체계를 갖춘다. 교회·성당·사찰 등 종교시설과 경찰, 교육청 등과의 협조체계도 강화한다.도는 또 교사들의 가정 방문이나 3~6월 읍·면·동에서 실시하는 주민등록 일제조사 활동과 병행해 복지사각지대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데이터로 관리한다.

이와 함께 주변지역에 무한돌봄을 비롯한 복지지원제도에 대한 현수막이나 포스터 등을 부착해 지원제도 홍보도 확대한다.제보체계 강화와 함께 적극 제보자에 대한 인센티브도 마련했다. 도는 도지사 표창 수여, 박물관이나 공공주차장 할인, 복지명예통장 위촉 등의 혜택과 함께 읍·면·동별로 2명씩 복지위원을 위촉해 수당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경기도 공무원이 주축이 돼 어려운 이웃을 발굴하는 전담팀도 신설한다. 도는 도 소속 공무원 4~5명으로 구성된 사례발굴팀인 ‘복지그늘 발굴팀’을 신설해 상시 발굴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이들로 하여금 시·군 사례발굴 조정 기능을 맡도록 할 방침이다.

도는 번개탄을 이용한 자살이 급증함에 따라 시중에 판매되는 번개탄 제품의 포장지에 ‘삶은 소중합니다’ 등 생명사랑 문구와 위기상담전화(1577-0199) 안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2008년부터 법령 등으로 적절하게 보호받기 어려운 위기가정에 대해 생계비·의료비·주거비 등을 지원하는 ‘무한돌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도는 지난해 2월부터 복지사각지대를 직접 찾아가서 지원하는 ‘찾아가는 무한돌봄센터’를 가동, 도 및 시·군 합동으로 총 1만3428가구를 방문해 이 중 41%인 5502가구를 발굴 지원한 바 있다.

도는 2008년부터 현재까지 총 3만1496가구에 대해 273억 원을 지원했다.경기도 관계자는 “도가 가진 역량을 총동원해 이중 삼중의 복지 제보체계를 마련할 것”이라며 “복지정보 부족으로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이웃이 없도록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유관기관 및 민간자원과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해 어려운 이웃을 지속적으로 지원해나가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