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강 대학 8개교로|서강대·외대·이화·숙명여대·감리신대·장로회신대·서울음대 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문교부와 각 대학 당국은 경부의 고려대 휴교 조처에 이어 학원 정상화와 빠른 면학 분위기의 조성을 위해 시위 주동 학생에 대한 강력한 학사 징계와 설득 작업을 펴는 한편 임시 휴강 조치를 취하는 등 학원 사태 수습에 나섰다. 문교부는 지난 1일부터 9일까지 학원 소요가 계속된 한국 신학대에 대해 『그동안 수 차례에 걸쳐 자율적인 수습 지시를 어겼다』고 지적, 이번 학기 들어 처음으로 9일 하오 교육법 시행령 68조1항에 따른 휴업 명령을 내렸다. 한국신학은 이에 앞서 9일 하오 긴급 교수 회의를 소집, 임시 휴강에 들어갔다.
한편 각 대학 당국은 학생 시위 사태 수습 방안을 숙의, 서강대와 외국어대가 9일부터, 이화여대 (대학원 제외)·숙명여대·서울대 음대·감리교신대·장로회 신학대 등이 10부터 각각 임시 휴강에 들어가 10일 현재 휴강 또는 휴교 조치된 대학은 서울대 (관악「캠퍼스」의 7개 단과대·치과대 포함 9개 단과 대학)·연세대·고려대·한신대를 포함, 모두 10개 대학으로 늘어났다.
또 9일의 학생 시위와 관련, 서울대 음대는 염진섭 군 (성악과 3년)을 제적, 채일희 (24·기악과 4년·전 학생 회장)·최경순 (26·성악과 4년)·이성제 군 (성악과 4년) 등 3명을 무기 정학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고 이화여대는 김선숙 양 (22·신문방송학과 4년)을 제적 조치하는 등 소요가 있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주동 학생들을 징계 처분했다.
문교부는 9일 정부 관계 당국자들로 구성된 학원 선도 위원회를 소집, 학원 사태 수습 대책을 논의, 설득 작업과 함께 강경 조치를 병행키로 하고 10일에는 각 대학 당국에 대해 『교문을 닫는 불행한 사태가 오지 않도록 하라』고 촉구하는 한편 앞으로 소요가 계속되는 대학에 대해서는 종래 방침대로 휴업과 휴교조치도 불사한다고 거듭 경고했다.
이에 따라 현재 강의중인 나머지 각 대학 당국은 전교직원을 동원, 학생들의 동향 파악과 설득 작업에 나섰으며 설득이 불가능할 때엔 자진 휴강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