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치매 악화 기전 규명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해부학세포생물학교실 윤승용 교수(왼쪽)와 김동호 교수(오른쪽)

국내 기초의학 연구진이 치매 악화를 막거나 예방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았다. 치매를 일으키는 핵심 원인물질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가 뇌 안의 신경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 경로를 세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해부학세포생물학교실 윤승용·김동호 교수와 송하림 연구원은 최근 반도체 제조 기술을 응용한 미세유체역학실(microfluidic chamber)을 사용해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의 특정 부위에 쌓이면서 다른 부위로 전파되어가는 경로를 밝혔다.

전체 치매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뇌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 성분이 대사되는 과정에서 베타 아밀로이드와 같은 이상 단백질이 생성된다. 이 단백질이 뇌 안에 쌓이면서 뇌신경세포간의 연결을 끊거나 뇌세포를 파괴시켜 치매 증상을 일으킨다.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 안에 쌓이는 집적과 침착에 대한 연구는 일부 있었으나, 뇌 안에서 어떻게 확산되는지의 전파 기전에 대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베타 아밀로이드의 전파경로를 관찰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 기술을 응용해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통로를 만들고, 뉴런 신경세포는 통과하지 못하지만 신경세포의 한 구성요소인 축삭돌기(axon)는 통과할 수 있도록 굵기를 조절했다.

이에 베타 아밀로이드를 형광 처리해 축삭돌기 칸에 투여하고 관찰한 결과, 베타 아밀로이드가 축삭돌기 끝부분을 통해 미세통로를 거쳐 신경세포체에 역방향으로 전달된 후 순차적으로 다음 신경세포로 전파되는 것을 확인했다.

윤승용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치매를 일으키는 핵심 원인물질 중 하나인 베타 아밀로이드 전파를 통해 치매가 악화되는 기전을 확인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치매 원인물질이 신경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치매가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막거나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인용지수 11.193의 의학 전문 학회지 ‘신경과학저널'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인기기사]

·병원 ‘약값 후려치기’ 사라지나…제약업계 활기 [2014/02/20] 
·치과, 리베이트 관행 뿌리 뽑히나? [2014/02/19] 
·광주 전남대병원 의약품 리베이트 ‘시끌’ [2014/02/20] 
·진화하는 MRI, 질병 조기에 잡는다 [2014/02/19] 
·우리 원장님 영향력, "이정도야" [2014/02/19]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