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백악청(문학평론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소시민의 일상적 현실을 그려내는 작업은 여전히 우리 작단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달에 발표된 소실 중에도 많은 수가 소시민 생활을 다루었다. 그런 생활이 많은 작가들에게 로 자신의 주어진 현실인 한 그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작가가 소시민 생활의 진실을 포착한다는 것은 주어진 일상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일만이 아니고 그 일상성의 보다 깊은 의미를 밝혀 내는 작업이기도 하다. 긴 역사의 안목에서 보면 소시민 생활의 일상성이란 이 생활이 결코 정상적인 시민 생활이 아니라는 진실을 망각케 하는 가장 강력한 환각제이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환각제의 영양 밑에 있는 의식이 소시민 의식이며, 소시민 생활을 다루는 대다수 작가들이 이러한 소시민 의식을 극복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시원한 문학적 성과에도 미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서 김국태씨의 『얄랑이꾼』(신동아)이나 백시종씨의 『인간복』(현대문학)같은 작품에서는 상당한 신선미를 느낄 수 있다. 『인간복』의 경우 세속적으로 무능한 「샐러리맨」 주인공의 답답한 직장 생활과 복잡한 가정 사정 등 그 설정은 다분히 고식적이다.
다만 부분 부분에서 참신한 감각과 생기를 느낄 수 있고 이러한 것들이 소시민의 일상성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역사적 현실에의 의지로 발전되었으면 하는 소망을 품게 한다. 그것 없이 좀 남다른 감수성의 향유에만 머무는 것은 소시민 의식의 한 변형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얄랑이꾼』은 그 발상 자체가 좀더 독창적이다. 판에 박힌 일상생활을 정면으로 그리는 대신 이러한 생활에 어떤 작다면 작고 크다면 큰 사건이 생겼을 때의 부부간의 일시적 동요를 통해 일상성의 무게를 느끼게 해준다.
밤중에 남편의 고향을 물어 온 어느 여인의 전화는 혹시 이북에 남았다가 죽었다던 전처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낳는다.
조그만 부부 싸움은 상례적인 결말로써 화해를 보고 말지만, 그것이 전처가 아닌 소꿉동무였음이 밝혀지자 이번에는 혹시 간첩이나 아닌가 하는 의문과 한동안 씨름해야 한다.
남북대화 운운하는 거창한 정치적 문제들이 얼마나 우리 생활의 깊은 곳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런데도 평범한 소시민에게는 얼마나 감당할 수 없는 벅찬 과제인가를 작가는 매우 은근한 방법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제목에 언급한 『얄랑이꾼』을, 즉 이러한 현실을 만들어 낸 책임자들에 대한 규탄은 소시민 의식 자체를 실질적으로 극복하는 핵심의 과제에서 빗나가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그러나 모든 작가가 소시민 생활만을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다. 소시민 의식에 젖은 소시민 소설들이 너무나 많음에 비추어 이것은 참 반갑고 다행한 일이다.
언제나 일정한 솜씨로 농촌 이야기를 써내고 있는 오유권씨의 『씀바귀골 사람들』도 그렇고 조선작(외야수) 송기원(카인의 시) 등 신예 작가들의 노력에는 더욱 큰 기대를 걸어 보고 싶다. 필자로서 이번에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작품은 이정호씨의 『감비 천불붙이』(한국문학)이다.
부전 고원의 어느 산간 벽지에 자리잡은 화전민 두 가구의 생태를 그려낸 박진감도 뛰어나거니와 등장 인물들간의 묘한 감정의 추이를 포착하여 이를 마지막 장면까지 표면에 드러냄이 없이 함축시켜 끌고 나간 솜씨 또한 만만치가 않다. 주인공 종섭과 친구의 아내 만길네 사이의 숨겨진 사연, 홍수에 언니를 잃고 형부 종섭을 따라왔다가 이제 시집갈 나이가 된 정분의 갈등, 만길 아범 덕구의 고민과 결단 등, 복잡하게 얽힌 이야기를 시종 밀도 있게 끌고 나간다.
불만이 있다면 오히려 너무나 세련된 서술이 천불(자연화)이 자주 나는 원시림 속의 이야기 내용이나 분위기를 얼마간 손상시키지 않는가 하는 점이다. 군데군데 작중 환경에 걸맞지 않는 「문학적」 표현도 없느니만 못하다.
주변의 일상적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를 그리더라도 그것이 당면 현실과 무연한 이야기가 아닌 이상 작가는 자신을 갖고 그 세계에 몰입하여 오직 거기에 맞는 표현만으로 일관해야 하는 것인데 그렇다면 이 작품의 몇몇 부분적 결합을 소시민 의식의 문제와도 연결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즉 소시민 생활과 거리가 먼 소재의 선택이 어디까지나 소시민 의식과의 대결 및 그 극복의 일환이 되어야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짧은 평문에서 더 길게 이야기하느니보다 좋은 단편을 즐기는 독자들에게 『감비 천불붙이』의 일독을 권하고자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