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의 관심 모은 왕인 박사 연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왕인 박사 현창협회는 지난해 전남영암 월출산일대에서 벌인 왕인 유적조사를 중심으로 18일 광주관광「호텔」에서 연구발표회를 가졌다.
백제 때의 대학자로 일본에 건너가 일본문학의 시조가 된 왕인 박사에 대해 한-일 양국에서 근래 활발한 연구활동이 벌어지고 있다. 71년 중앙일보는 일본의 왕인 유적을 조사한 김창수씨의 답사기록을 연재한바 있다.
이 발표회는 유적 면에서 영남대 이은창 교수, 문헌 면에서 성대 유승국 교수, 구비전설 면에서 조선대 김영원 교수가 발표했고, 그밖에 유홍렬 이선근 홍사준 이을호씨 등이 참가해 학계로부터의 적잖은 관심을 보였다.
유 교수는 왕인에 관한 우리 나라의 고 기록이 없음을 전제하고, 일본의 고사기와 일본사기에「와니」라 하여 상세히 나타나있다고 했다. 우리 나라 최근 세 문헌으론 김 추사의 기록과 해동역사 및 호남 지에 비로소 보이는데, 다만 동국여지승람에 소개된 고려 때 학자 김극기의 월출산시가 주목 할만 하다고 지적했다. 『상사』『기해』『갈성』『불복념고리』『도상각』등 귀 절이 왕인의 추모로 추정 할만 하다는 것이다.
이은창 교수는 월출산 서록을 조사한 결과 ①출생지로 알려지는 구림 성기동 ②공부했다는 절터와 책굴 ②일본으로 떠났다는 상대포 등이 전설적이나마 수긍되는 점이 많다고 말했다.
또한 김 교수는 여러 전설이외에도 이곳 구림 마을 대동계가 대대로 음력 3월3일에 왕인의 제향을 모셔오는데 그것이 일본 하내(왕인의 묘가 있는 곳)의 왕인 추모제와 일치되어 결코 우연으로 돌릴 수 없다고 주장했다. <광주=김국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