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광주은행 BS·JB금융 품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신제윤 금융위원회 위원장(왼쪽)과 박상용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오른쪽)이 지난해 12월 31일 오전 경남·광주은행 매각을 논의하는 회의장에 들어서고 있다. [뉴스1]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인수전이 지방 금융지주사들의 승리로 마무리됐다. 정부가 ‘지역 환원’ 명분 대신 ‘최고가 매각’ 원칙을 고수한 결과다. 그러나 매각이 최종적으로 성공하기까진 까다로운 과제가 남아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지난해 12월 31일 회의에서 경남은행의 우선협상대상자로 BS금융지주를, 광주은행 우선협상대상자로는 JB금융지주를 선정했다. 본입찰에서 가장 높은 가격을 써낸 곳들이다. 부산을 기반으로 한 BS금융지주는 1조2000억원대를 제시해 기업은행과 경은사랑컨소시엄을 2000억원 이상 차이로 따돌렸다. 전북 전주에 본점을 둔 JB금융지주는 광주은행 입찰가로 5000억원 가까운 금액을 써내 BS금융지주와 신한지주를 크게 앞섰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날 공자위에서 “지난 6개월간 민영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 임시방편을 생각하지 않은 건 아니지만 결국은 원칙을 지키는 게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 매각 3대 원칙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빠른 민영화 ▶국내 금융산업 발전을 고려해 결론을 냈다는 뜻이다.

 정부는 실사와 세부협상을 거쳐 오는 7월까지 매각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매각이 성사된다면 시중은행과 맞먹는 대형 지방금융그룹이 탄생한다. BS금융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 자산을 합치면 87조원에 육박한다. 경쟁 지방은행인 대구은행(37조원)의 두 배 규모이고, 외국계 시중은행 한국SC금융(64조원), 한국씨티금융(54조원)을 뛰어넘는다. JB금융 역시 전북은행과 광주은행 자산을 합쳐 35조원대로 부쩍 덩치를 키우게 된다. BS금융 관계자는 “지금 규모로는 추진하기 어려웠던 신성장 사업이나 해외진출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경남은행의 지역환원을 줄곧 주장해온 경남지역의 반발이 거세다. 경상남도는 이날 공자위 결정이 나오자마자 경남은행과의 금고업무 계약을 해지하는 절차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경남도와 18개 시·군이 맡겨놓은 1조5000억원가량의 돈을 경남은행 금고에서 빼서 다른 은행으로 옮기겠다고 통보했다. 경남은행 인수를 위해 뛰었던 지역 상공회의소 역시 부산·경남은행 금융상품 불매운동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경남은행 노조는 파업과 일괄 사표제출을 결의하고 투쟁에 돌입했다. BS금융은 경남은행과 부산은행을 따로 유지하는 ‘투뱅크 체제’와 경남은행 직원 완전고용을 약속하며 지역 여론을 달래는 중이다.

한애란 기자, 부산=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