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북 급변사태 대비 비상계획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미국 백악관이 북한의 급변사태에 대비해 비상계획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밝혔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17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우리는 항상, 어느 정부에서나 그랬던 것처럼 다양한 비상계획(contingency plan)을 분명히 마련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카니 대변인은 북한 급변사태에 대비한 비상계획의 유무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면서도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또 “지난 2년간 김정은 정권의 리더십을 평가한다면 한마디로 주민들의 가난을 해결하는 것보다는 군사력 증강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워싱턴을 방문 중인 김규현 외교부 1차관은 월리엄 번스 국무부 부장관과 차관급 전략대화를 한 뒤 워싱턴 특파원들과 만나 “장성택 처형사건 이후의 북한 문제에 대해 현재 한국과 미국 두 나라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신중하게 대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북한의 상황이 이대로 끝나는 건지, 아니면 내부 변동이나 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는지를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내부의 불안한 상황을 외부에서 긴장을 고조시켜 해결할 가능성이 있다”며 “한·미 양국은 북한의 도발에 대비해 연합 방위태세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고 대북 억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조처를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공개했다.

 특히 김 차관은 “현재 한·미 양국 군 사이에 긴밀한 협의가 이뤄지고 있으며 정보와 분석 평가 등에 관한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며 “만일 사태가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진전된다면 한·미 양국이 더 보강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더 보강된 조치가 무엇인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렵다고 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과 관련해 “현재로선 북한의 내부 동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하지만 김정은이 군을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제한된 범위 내에서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과거의 경험을 보면 2월부터 4월 사이에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있기 때문에 이 기간 중 북한이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며 “도발을 억제하기 위해선 중국 등 주변국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통일된 메시지를 북한 측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미 정부 내에서 북한과 대화하자는 목소리를 내는 사람을 찾기는 힘들다”고도 말했다.

워싱턴=박승희 특파원

관련기사
▶ 우상화 행보 힌트? 北 2014 달력보니
▶ "술 마시다 건배사가…" 장성택 측근 4~5명 추가 처형설
▶ "김정은, 의도적으로 눈썹 절반으로 민 이유는 괴팍한…"
▶ "中으로 탈출한 張측근, 핵자료로 국정원과 망명협상"
▶ "내각 뜬 별 1호 박봉주, 경제 안 풀리면…" 공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