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대통령 취임식, 유신 헌법 공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종필 국무총리는 20일 『정부는 통일 주체 국민회의에서 선출되는 제8대 대통령의 취임식을 오는 27일에 거행하고 유신 헌법도 이날에 공포, 헌정 질서를 완전히 회복할 것이며 늦어도 73년3월에는 새로운 국회가 구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저녁 7시 KAL 「호텔」에서 전국 경제인 연합회가 주최한 「관민 경제 간담회」에 참석, 헌정 질서의 회복 「스케줄」을 이같이 밝히고 『정부는 남북 대화의 진행 여하에 관계없이 자유 민주 체제를 계속 견지할 것이며 사유 재산제와 개인의 경제 활동 자유를 주축으로 하는 자유 경제 질서를 계속 유지·발전시킬 것 』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정부측에서 김 총리와 남덕우 재무·이낙선 상공·김보현 농림·장례준 건설·이병옥 무임소장관이, 경제계에서 김용완 전경련 회장을 비롯, 최태섭·신덕균·정주영·조중훈 부회장 등 1백여명이 참석했다.
김 총리의 이밖의 연설 요지는 다음과 같다.
『유신 체제하의 경제 정책은 기본적으로 사유 재산제와 개인의 경제 활동의 자유를 주축으로 하는 경제 질서를 계속 유지 발전시키는데 있다.
자유 경제 원칙은 어떠한 경우에도 견지하며 새마을 사업을 통한 농어촌 개발로 도시와 농촌간의 단일 경제권 형성에 주력할 것이다.
▲장기적인 경제 정책의 방향은 안정·성장 및 균형의 조화를 기조로 한 제3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효율적으로 추진, 8·3조치로 다져진 안정 기반과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통해서 80년대 초에 1백억 「달러」 수출과 1인당 1천「달러」 국민 소득을 달성함으로써 자립 경제와 복지 사회를 이룩하는데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기업인의 투자 활동 촉진과 물가 안정·기업 공개의 촉진·사회 안정을 위한 고용 증대는 물론 새마을 정신을 우리 경제에 정착화 시켜 총화 체제를 이룩하겠다.
정부는 최근 항간에 떠도는 신문 기사 활동 영역이 축소되지 않을까 하는 기우를 불식하여 80년대 초에는 국민 경제 규모를 4배 수준으로 확대시키고 중공업 국가로서의 선진 국가화를 통해 「꾸어오던 경제」에서 「꾸어 주는 경제」로 전환하는 것은 물론 전 국토의 완전 녹화·전 국토의 포장화·4대강 유역 및 주요 하천의 개발 등으로 복지 균점이 이뤄질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