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중국정책전환 견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최근 일본이 대중국정책 재검토와 관련하여 『두개의 중국-유엔동시가입』방안을 추진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결과적으로 한국의 국제적 지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이러한 움직임이 분단국가문제 해결의 국제적 선례가 되지 않도록 방지하는한편 적어도 한국문제만은 별개문제로 취급되도록 하기위한 적극적인 외교공세를 펴기로했다.
정부의 한 고위소식통은 8일 『일본이 내세울지도 모르는 두개의 중국안은 동독·월맹등 공산국가의 동조를 받아 실현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이고 이렇게 될 경우 2개의 중국안이 한국을 포함한 분단국가 문제해결의 국제적 선례로서 적용될 가능성을 경계해야한다』고 말하고 『정부는 이러한 움직임을 전면적으로 봉쇄하거나 적어도 한국문제는 별개문제로 취급할 것을 명백히 하기위한 사전조치를 취할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정부의 대응조치의 일환으로 김인권외무부방교국장은 7일하오 주한일본대사관의 노다·에이지로(야전영이랑) 참사관을 만나 ①중국문제에 있어서는 자유중국정부의 견해가 충분히 존중되어야 한다 ②중국문제는 인접한 국가들에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일본의 대중국정책 재검토에 관련, 한국을 포함한 자유아시아 제국의 견해를 들어야한다는 한국정부의 입장을 전달했다.
정부는 제2단계 조치로서 주일대사관을 비롯하여 유럽과 중공 및 북괴의 침투가 첨예화하고 있는 아프리카·아랍지역 공관을 통해 한국의 입장을 설명하는 적극적인 외교공세를 취하도록 할 방침이다.
한소식통은 『인접국가인 일본의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의 대유엔 외교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한국을 지지하는 회원국을 중심으로 중립제국에 대해서도 외교노력을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