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명의원 6명 부당 허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박대통령은 학생「데모」에 언급, 이번 기회에 학원의 폐풍을 단호히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 『선량한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정부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박대통령은 ⓛ국회가 격돌을 피하고 여야총무간에 개헌안심의 일정에 합의한 것은 잘된 일이며 진지한 토론과 질의를 통해 정정당당하게 가부를 결정하는 것이 국회본연의 자세이고 ②무소속의원이 당과 노선을 같이하고 또 원한다면 전부 공화당에 복당시킬 것이며 ③개헌안이 국회에서 처리된 다음 국민들에게 충분히 이해시키기 위해 1개월 후에 국민투표를 실시하는 것이 좋겠고 ④별정직 공무원들이 개헌지지나 유세등 적극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정권의 신임을 묻는 만큼 정부업적을「피아르」하는 것은 공명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밖의 박대통령의 회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회표결=공화당 내에 잡음이 있고 이론이 있었지만 어려운 시기에는 일치단결해서 행동을 통일한 전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한 사람의 이탈도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개헌문제가 워낙 중대한 문제이기 때문에 소속의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충분히 의견 교환을 했다.
▲국민투표법=국회의 여야총무들이 합의하고 소위원회를 구성, 검토하고 있기 때문에 잘 처리될 것으로 본다. 별정직 공무원을 유세에 참가시키거나 개헌지지운동을 하도록 하지는 않겠지만 신임을 묻는 신임투표이기 때문에 이 정부안에서 일하고있는 공무원이 그 업적을「피아르」하는 것은 당연하다.
사견이지만 이것은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 선거와 다르다고 본다.
▲학원문제=우리나라 학원에는 외부에서 바람이 불어와서 그런지 좋지 않은 폐단이 있다.
학생들의 현실 참여에는 행동의 한계가 있어야 하는데 정치인인지 학생인지 구별할 수 없게 되어있다. 특히 개헌반대의사를 표시하는 것은 좋지만 화형식, 단식투쟁, 폭력저인 가두「데모」를 벌이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학원의 자유와 자치, 자율적인 질서회복을 바라기 때문에 현 단계로서는 학윈 자체에 맡기고 있으나 정도가 지나치면 정부는 묵인할 수 없다.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폭력으로 끌어내는 것은 있을 수 없으며 그런 폐단은 이번 기회에 완전히 시정돼야하고 학원의 능력으로 못할 때는 정부가 손을 써서라도 선량한 학생이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도 또한 정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유세=당에서 지방유세에 나가달라고 하지만 나는 현재로서는 나갈 계획이 없다. 국회 표결과정을 봐서 필요하다면 직접 나가 유세할 수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