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행정에 진일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박정희대통령은15일상오 신설되는 국토통일원장관을 비롯한 3부장관을 임명발령했다.
이번 3부장관임명은 신범식 청와대대변인이밝힌것처럼 행정쇄신에 역점이주어진것으로 별다른 정치적의미는 없는것같다.
박대통령의 이번 개각구상은 지난번 지방초도순시중에 이루어진것으로 알려지고있으며 앞으로 행정의 주안점이 농어민소득증대사업과 종합적인 국토건설에 놓어질것이라는 시책방향을 다시금 다짐한것이다.
6대대통령취임후 6번째인 이번 개각은 행정력량을 기준으로한 인사원칙에 곁들여 정치가적결단성을 도입한 것으로 분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 설정된 농정과 건설행정의방향을 과단성있게 실천할수있는 추진력이 마련된셈이다.
한편 주원건설장관과 이계순농림장관의 해임이유는 공식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주건설의 경우 박대통령의 지난번 경북도초도순시때 건설중인 고속도로의 폭을 7미터로 한것에 대한 책임추궁이라든가 전반적인 국토건설행정의차질때문이며 이농림은 쌀값문제등 양곡정책의무계획성에대한 인책인것으로 알려지고있다.
신태환씨의 국토통일원장관기용은 그동안 백락준, 김성은씨등 이른바 거물급인사들이 물망에 올랐었으나 학자이며 정치적으로투명한인사를 등용한다는 당초방침이 그대로 나타난것으로 볼수있다.
이번 개각은 소규모인것으로 미루어 공화당과는사전에 아무런 협의가 없이 이루어진것으로 알려지고있으며 다만 실적행정을 충실히 보완하기위한 것으로, 평가되고있다.
작년9월말께부터 줄기차게나돌던 개각설이 이번 장관갱질로 일단 마무리된것. 일부에서 예상했듯이개각범위가 커졌었더라면 그에 연쇄해서 공화당등에대한 개편도 내다볼수 있으나 이번 개각이 그러한 범위에 머물렀기때문에 각외의 개편을 전망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이억정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