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PX 판매 수익금 일부 민간인 점장 주머니 채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국방부 소속 국군복지단이 장병들의 편의를 위해 운영하는 충성마트(PX) 물품의 판매 수익금 가운데 일부를 마트 담당자들의 격려금 등으로 전용해 사용하다 감사원에 적발된 것으로 5일 확인됐다. 감사원 감사 결과에 따르면 국군복지단은 충성마트에서 상품 가격의 1~2%를 ‘안전유통액’이란 명목으로 포함해 판매해 왔다. 안전유통액은 유통 과정에서 상품이 파손될 경우 이를 새 제품으로 구입하기 위한 항목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격오지 등에 위치한 부대로 상품을 옮기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며 “상품이 파손될 경우 점장이나 판매 담당자가 개인 돈으로 새 제품을 구입할 수 없어 이에 대비한 차원으로 운영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복지단은 실제 10~15% 내외의 액수만 새 제품을 구입하는 데 사용하고 나머지는 직원 회식비나 판매병 격려비, 유류비, 수당 등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감사원 감사에 따르면 2011년 육군은 55억9896만9000원의 안전유통액 가운데 12.6%인 7억639만4000원만 결손금으로 지출했다. 해군은 1억8884만5000원 가운데 1970만5000원, 공군은 4억2408만1000원 중 7147만1000원만을 원래 계정으로 사용했다.

 감사원은 또 마트 점장들이 안전유통액을 개인 은행 계좌에 입금해 사적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 당국자는 “근무원으로 고용한 민간인 점장들의 월급이 180만~200만원 수준으로 급료가 적고 한 사람이 여러 마트를 담당하다 보니 이동도 잦아 유류비 등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관행적으로 안전유통액에서 사용해 온 것이 내부적으로도 문제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지난 3월부터 차량유지비와 격려비 등을 정식 예산에 반영해 집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전국에는 1900여 개의 충성마트가 있으며 국방부는 400여 명의 민간인을 점장으로 고용하고 있다. 안전유통액과 판매수익, 위탁판매료 등으로 구분해 관리하던 계정을 관리위탁수수료(가격의 11%)로 일원화하고 점장 등에게 지급하도록 바꿨다는 설명이다. 상품 가격과 판매수수료 비율 등은 그대로지만 지금까지 안전유통액에서 전용해 사용하던 것을 정식 예산 집행 방식으로 바꿨다는 얘기다.

 이 당국자는 “충성마트 운영비를 국가 예산에서 충당하지 않으면 상품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다”며 “장병들의 복지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만큼 최소한의 유지비만 남기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국방부는 그동안 충성마트와 관련한 부작용이 이어지자 민간에 위탁하거나 국내 유명 편의점의 입점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이곳에선 기존 충성마트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용수 기자, JTBC 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