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콩」의 AID관리 처형설 파문|포로석방은 「인도」보다 선전효과 노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베트콩」은 최근 3명의 「베트콩」「테러」분자를 처형하기로 한 월남정부의 결정에 대한 보복으로서 그들이 27개월 전 납치해간 미 국제개발처 직원 「구스타프·허츠」씨를 처형했다고 암시함으로써 월남전에서 양민학살 문제와 더불어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어온 포로처우문제를 다시 한번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금까지 쌍방의 포로들에게 국제법이 정한 바에 의한 전쟁포로 대우를 부여해 주려는 외교노력은 월남에 와있는 모든 외국군을 전범자로 보는 월맹 측 태도로 좌절되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쌍방은 「인도주의」를 소리높이 외치면서 몇 차례에 걸쳐 포로석방을 실행했지만 그것은 아무런 협정도 거치지 않은 일방적 결정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에 그 수는 상징적인 범위를 넘지 못했고 그 의도는 인도주의 보다 차라리 선전에 있었던 것이다. 거기다가 「베트콩」은 월남에 와 있는 제3국 민간인들은 모두 전쟁노력을 돕고 있으므로 전투원과 다를 바 없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전시 하에 이들이 받을 수 있는 민간인으로서의 특별대우를 일절 인정하지 않고 있다. 「허츠」씨를 실제로 처형했을지도 모른다는 우려는 이래서 뒷받침된다. 연초에 우리 기술자도 4명이나 납치되어갔고 현재 월남에는 1만2천명 정도의 우리기술자들이 곳곳에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우려는 또한 우리에게 직접적인 관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성>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