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빨리 이 봄에 시집을 … 그리고 한 권 보내주셔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1967년 5월 8일 소인이 찍힌 이 편지는 네 장의 그림엽서다. 김환기는 산봉우리에 유유히 떠다니는 구름을 그려 넣고는 “쇠고기야 엄두가 나야지. 새우젓에 참기름으로 살자. 산을 바라보며 견우와 직녀로 살자”라고 적었다. 수화가 뉴욕서 이산 김광섭에게 보낸 편지 12통을 입수했다. 미술사가 황정수씨가 본지에 공개했다.
김환기(左), 김광섭(右)

“요새 제 그림은 靑綠色(청록색), 점밖에 없어요. 왼편에서 한줄기 점의 파동이 가고, 또 그 아래, 또 그 아래, 그래서 온통 점만이 존재하는 그림이야요. 붓을 들면 언제나 서러운 생각이 쏟아져 오는데 왜 나는 이런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일까. 참 모르겠어요. 창밖에 빗소리가 커집니다.”

 1966년 2월 뉴욕의 수화(樹話) 김환기(1913~74)는 서울의 이산(怡山) 김광섭(1905∼77)에게 이렇게 적어 보냈다. 세계 무대에서 스스로를 시험하고자 홍익대 교수도 그만두고 1963년 미국으로 건너간 수화는 고국을 몹시 그리워했다. 그 창구는 이산이었다. 성북동서 가까이 살며 교분을 나눴던 이산으로부터 받는 소식, 이산의 시를 통해 수화는 위로받았고 이를 작품으로 승화했다. 대표적인 게 이산의 시 ‘저녁에’를 모티브로 그린 대형 점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1970)다.

 뉴욕 시절의 수화가 이산에게 보낸 편지 12통이 처음 공개됐다. 편지는 1965년 11월말부터 시작한다. 일곱 달 전 수화는 이산이 뇌출혈로 쓰러졌다는 소식을 부음으로 오인해 충격을 받았었다. “부디 서러워 마시고 빨리 健康(건강)해지셔서 환희에 찬 싱싱한 詩(시)를 써 주십시오. 빨리 돌아가고 싶지만 왜 돌아가지 못하는지 나도 모르겠어요.”

 이렇게도 털어놓았다. “빨리 이 봄에 詩集(시집)을 내야 해요. 그리고 한 권 보내주셔요. 석판화를 넣어 호화판 畵集(화집)을 제가 다시 꾸며 보겠어요. 이것은 장기계획-제가 서울에 가지는 날, 그것도 딸라를 좀 쥐고 가지는 날 자비출판 하겠어요. 한 권에 3만원짜리 화집을 내야겠어요. 되도록이면 비싸서 안 찾는 책을 내고 싶어요. 이런 것이 미운 세상에 복수가 될까.”(1966년 2월 24일)

 화가는 타국에서 외로웠고, 곤궁했다. 편지마다 시인에게 “시를 써 주세요” 독려했던 것은 곧 스스로에게 ‘그림을 그리라’고 채찍질하는 거였을 터다.

 편지는 미술사가 황정수씨가 갖고 있던 것이다. 전기작가 이충렬씨가 본지에 알려왔다. 간송(澗松) 전형필(1906∼62), 혜곡(兮谷) 최순우(1916∼84) 등 우리 고유의 아름다움을 찾았던 이들의 전기를 써온 그가 이번에 매달린 인물은 탄생 100주년을 맞는 김환기다. 『김환기-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유리창)를 출간했다. 저자는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수화뿐 아니라 파리·뉴욕 등지에서 평생 그를 내조한 부인 김향안(1916∼2004)씨에 대해서도 입체적으로 서술했다.

 김향안씨는 남편과 사별 후 서울 부암동에 환기미술관을 설립하는 등 수화를 미술사의 한 부분으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본명은 변동림, 시인 이상(1910∼37)의 부인이자 화가 구본웅의 서이모(庶姨母)이기도 했다. 김환기와 결혼한 뒤 남편이 쓰던 호 향안(鄕岸)을 이름으로 삼았다. 전기는 김환기 관련 저작권을 갖고 있는 환기재단의 동의를 얻지 못한 채 출간됐다. 해서 이산과의 편지 부분도 책에는 싣지 못했다.

권근영 기자

◆김환기 탄생 100주년=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 김환기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환기미술관에선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전(6월 9일까지)을 열고 있다. 인터넷 포털 네이버에선 온라인 특별전을 연다. 근대문화재로 지정된 ‘론도’ 등 대표작 50여 점을 모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