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 잇따라 "대선서 정보공개운동"

중앙일보

입력

대형 시민단체들이 오는 12월로 예정된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자들의 정보공개운동에 주력하겠단 뜻을 잇따라 밝혀 낙선운동이 펼쳐진 지난 총선에 이어 오는 대선 결과에도 시민단체의 활동이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참여연대(사무처장 朴元淳)는 21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느티나무카페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대선이 참여민주주의 실현의 장(場)이 되기 위해선 유권자들이 후보자에 대해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해 정보공개운동에 주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이날 발표한 ‘2002년 대선 사업계획’이라는 문건에서 “이를 위해 지난 2일부터 대선예비후보자 자료조사팀을 운영 중”이라며 “각 정당 예비후보자의 경력·발언·재산·각 분야 정책에 대한 입장 등을 조사해 유권자들에게 알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참여연대 이태호(李泰鎬)정책실장은 “다른 단체와의 연대가능성과 구체적인 일정 및 방법에 대해선 아직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참여연대는 이와 함께 ‘이번 대선을 통해 정치개혁을 이룬다’는 목표 아래 지난해 말 2백여 단체와 연대해 확정한 선거법·정당법·정치자금법 등 정치관계법의 개정안 중 중요 항목을 뽑아 ‘정치개혁 23개 과제’도 선정·발표했다.

특히 참여연대는 이중 정당법과 관련 ▶국민참여 경선 실시▶경선비용의 한도 설정▶경선감시기구 설치▶경선자금내역공개 등을 여·야 각 정당에 우선 촉구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공개 토론회를 제안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사무총장 申澈永)도 이날 ‘2002년 시민운동 선언 회견’을 열고 “이번 대선에서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후보자 정보공개운동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지난 총선 낙선운동에 불참했던 경실련은 이날 “이번에도 특정 후보를 지지·반대하지 않는다는 내부 원칙을 지켜나갈 것”이라며 “대신 유권자들의 올바른 선택을 돕기 위해 후보자 정보공개 운동과 정책캠페인을 벌여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밖에 경실련은 이날 ▶사회적 정론형성▶권력형 부패척결▶국토의 균형발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6대 실천방침’도 발표했다.

남궁욱 기자<periodist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