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과거사 꿰뚫고 머리 잘 굴리며 거짓말도 잘해”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13호 04면

박용옥(71·전 국방부 차관) 평남지사는 1990년부터 2년간 8차례 이어진 남북고위급회담에서 남측 군사분과위원장을 맡았다. 당시 북측 군사분과위원장이 김영철 정찰총국장이었다. 당시 김영철은 인민무력부(우리의 국방부) 부국장을 맡은 소장급(우리의 준장) 이었다. 박 지사는 김영철과 2년간 거의 매달 만나면서 남북불가침 합의와 남북군사공동위 합의를 성사시켰다.

90년대 남북고위급회담 대표 박용옥 평남지사가 본 김영철

-가까이서 본 김영철은 어떤 사람인가
“북한에서 최고의 대남통이다. 대남 전략전술을 수십 년째 꾸준히 해왔다. 내가 20년 전 김영철과 장성급회담을 할 때 실무급으로 배석했던 소령·중령들이 장성이 돼 북한과 회담할 때도 김영철이 나왔다. 경험도 많지만 머리가 아주 빨리 도는 친구다.”

-어떻게 머리가 좋은가.
“과거 남북 간에 일어난 모든 사건을 다 알고 우리의 대북전략·협상행태도 다 꿰고 있다. 거짓말도 잘한다. 우리는 남북회담에 처음 나가는 군인이 많다. 회담 전에 자료를 공부하긴 하지만 몸에 밴 상태는 아니다. 그런데 김영철은 수십 년간 이 일만 해왔으니 그걸 밑천 삼아 장난을 친다. 예를 들어 회담 도중 북측에 ‘너희 인민군 총참모장이 몇 명이냐’ 물으면 ‘남측은 합참의장 한 명이지만 우리는 몇 명이다’고 대답한다. 그게 거짓말인데도 우리 측은 모른 채 넘어간다. 또 ‘과거에는 남북 간에 이랬는데 그런 사실을 똑바로 알고 나오라’고 공격한다. 우리 측은 따로 확인하기 전엔 그게 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다. 결국 우리는 그런데 휘둘리지 않고 우리 할 말만 하고 회담장을 나오곤 했다. 그럼 김영철은 금방 상황을 파악하고 자기들끼리 대책을 세우더라. 그런 머리 굴리기가 능한 친구다.”

-공식회담 외에 사적인 만남도 했나.
“같이 식사도 하고 평양에선 술 한잔하면서 농담도 나눴다. 북한 대표들은 회담에서 얘기할 때와 개인적으로 얘기할 때가 다르다. 회담장에서 정치군사적인 얘기를 할 때는 김일성·김정일 우상화에 열을 올린다. 반면 개인적으로 만나면 자식들 얘기를 하는 등 우리랑 비슷해진다. 그럴 땐 우리 동포고 형제란 생각이 든다. 이런 이중성이 있기 때문에 ‘같은 민족’이란 생각에서 그 사람들을 설득시키겠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김영철이 직접 TV에 나와 협박한 걸 보면 북한의 도발이 임박한 것 아닌가.
“아니다. 도발한다는 선언이라기보다는 또 하나의 협박, 공갈로 보인다. 북한은 언제 어디서 도발할지에 대해 선택권을 갖고 있다. 당장 도발할지, 우리가 느슨해진 틈을 노려 몇 개월 뒤 도발할지 속단할 수 없다. 우리는 늘 대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1990년대에도 북한이 ‘서울 불바다’ 운운하며 위기를 고조시켰다. 그때와 비교하면.
“현격한 차이가 있다. 20년 전엔 북한이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을 저지른다는 걸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그런데 지금 북한은 우리 대통령 몇몇이 ‘어떤 경우에도 전쟁만은 안 된다’고 얘기하는 바람에 안심하고 도발을 자행하고 있다. 그 대통령들은 국가에 죄를 지은 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