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아픈데 허리디스크가 원인이라고?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흔히 허리디스크라고 하면 허리에만 통증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허리디스크 환자라면 허리 외에 다른 곳에도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디스크가 튀어나와 신경이 눌리는 위치에 따라 통증이 다양한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은 허리, 엉치에서부터 다리 뒤쪽이나 옆쪽이 당기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데 의외로 무릎 앞쪽이나 허벅지가 아픈 사람도 있다. 이런 경우 무릎이나 고관절 문제로 착각하기 쉽지만 디스크 파열 부위에 따라 무릎에 통증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정확히 검사를 받아야 한다.

신경이 눌리는 위치 따라 통증 부위 달라져

허리 통증과 동반된 다리 통증은 허리디스크의 대표적 증상이다. 허리디스크는 허리뼈(요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원래의 자리에서 밀려나와 척추 신경을 압박해 다리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압박된 신경에 따라 허리만 아픈 경우에서부터 허벅지나 무릎, 발등, 발바닥 등 아픈 부위가 달라진다. 대부분은 다리 뒤쪽에서 통증이 나타나는데 일부 환자의 경우 무릎 앞쪽이나 허벅지에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고도일병원 고도일 병원장은 “일반적으로 무릎 앞쪽이나 허벅지가 아프면 무릎이나 고관절과 같은 관절의 문제만 생각해 통증의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 허리디스크가 터졌을 때도 무릎 앞쪽이나 허벅지에 통증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한다.

좌골신경통 대퇴신경통 등 다양한 증상 유발

허리디스크는 다양한 부위에 통증을 유발해 환자가 받는 고통이 더욱 크다. 대표적인 통증이 좌골신경통과 대퇴신경통이다. 좌골신경통은 요추 4-5번, 요추 5번-천추 1번 사이의 하부 디스크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허리에서 시작해 엉덩이를 거쳐 다리까지 저릿저릿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

고도일 병원장은 “약해진 디스크로부터 흘러나온 수핵에 의해 신경근이 직접적으로 압박을 받거나 염증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좌골신경통 증상이 생긴다”며 “이 경우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순간적으로 통증이 유발되기도 한다”고 말한다. 화장실에서 배변을 할 때나 무거운 것을 들 때, 기침을 할 때 등과 같이 복압이 갑자기 높아졌을 때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허벅지가 바늘로 콕콕 쑤시듯 따끔거리며 저린 느낌이 든다면 대퇴신경통을 의심할 수 있다. 대퇴신경통은 요추 2-3번, 요추 3-4번 사이의 요추 상부 디스크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허벅지 앞쪽과 옆쪽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이 눌리거나 손상을 받으면 나타난다. 저리거나 아리기도 하고 콕콕 쑤시듯 아픈 다양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자가 진단법으로 집에서도 간단히 체크

엉치에서부터 허벅지 뒤쪽으로 당기는 좌골신경통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하지직거상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천장을 보고 누운 자세에서 통증이 있는 다리를 무릎을 쫙 편 상태로 천천히 들어 올렸을 때 다리가 당기는 증상이 생기면 요추 하부 디스크가 의심이 된다. 허벅지나 무릎 앞쪽이 아픈 대퇴신경통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대퇴신경신장검사’를 한다. 엎드려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90도로 굽힌 채로 다리를 들어 올렸을 때 허벅지 앞쪽에서 통증이 느껴지면 요추 상부 디스크를 의심할 수가 있다.

이처럼 허리디스크가 의심될 경우에는 전문의를 찾아 진찰과 방사선 검사 등을 통해 진단받을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MRI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진되며 진단이 된 뒤에는 디스크의 위치나 상태, 증상의 심한 정도에 맞춰 물리치료나 운동치료에서부터 주사요법이나 시술과 같은 비수술 요법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수술이 필요한 허리디스크는 전체의 10% 미만에 불과하다. 허벅지나 무릎 부위에 통증이 있으면서 관절 검사에서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았을 때는 척추 전문의를 찾아 허리에 대한 검사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인기기사]

·이노셀, 10대 1 무상감자 추진 [2013/03/05] 
·의료인 수난시대…K제약 리베이트 행정처벌 초읽기 [2013/03/06] 
·34개 지방의료원, 공공성 따져도 A등급 단 두 곳뿐 [2013/03/05] 
·진주의료원 폐업 결정 지역 공공의료 포기? [2013/03/05] 
·섹스 두뇌 능력 향상 시킨다 [2013/03/06]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