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열린 마당] 교육문제 개선은 이렇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유엔 아동권리위원회가 한국의 아동권리협약 이행실태에 대한 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달 중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 등의 개선을 권고할 것이라고 한다.

우리의 입시제도를 비롯한 교육 전반에 걸친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국제사회의 지적까지 나오면서 교육 현실을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중앙일보 인터넷 조인스닷컴(www.joins.com)에서 네티즌의 의견을 들어봤다.

대부분의 네티즌은 자성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eduljw'는 "유엔까지 나서 우리 교육 제도를 지적하는 것을 보고 참담함을 느꼈다"며 "이를 계기로 우리 교육계가 진지한 성찰의 장을 마련했으면 한다"고 바랐다.

'rickrhee'도 "유엔의 평가를 간과하지 말고 현행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인권유린이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고 했다.

교육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도 많았다. 'hakbumo'는 "지나친 교육열의 원인은 획일적인 입시 위주의 공교육에 있다"면서 "교육 수요자에게 선택권이 없는 평준화를 폐지하고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적성.진로.학습능력에 맞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kaskasa'는 "인적자원 외에 내세울 것이 없는 우리나라가 경제.문화.기술 강국이 되려면 교육에 대한 열의는 긍정적이다"면서 "다만 암기.주입식 교육 등 내용의 부실함을 하루빨리 고쳐야 한다"고 했다.

사회 저변에 깔린 의식구조의 개혁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epaltm'은 "수능 난이도를 조절하고 입시방법을 바꾼다고 잘못된 교육문제가 해결될 리 없다"며 "사회 곳곳에 뿌리박힌 '학력 서열주의' 의식을 버리는 게 더 중요하다"고 꼬집었다.

'kh_kim'도 "학력 차별이 심한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입시교육에 내몰릴 수밖에 없는 게 우리네 현실이 아니냐"며 "사회적 차별과 이를 부추기는 부패구조가 사라지지 않는 한 교육개혁은 힘들 것 같다"고 지적했다.

지난 21일 국무회의에서 현행 12개의 필수과목 중 교련.한문을 제외하기로 의결한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 개정안에 대한 의견도 많았다. 특히 한문교육이 도마에 올랐다.

ID 'rieno'는 "우리 글의 7할 이상인 한자어를 모르고 제대로 의사 표현을 할 수 있겠는가"라고 했고, 'vowow'는 "인터넷 채팅 등으로 언어 파괴가 심각한데 한문 교육마저 없어지면 어휘력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우리 말과 글이 더 쉽게 파괴될 게 뻔하다"고 우려했다.

반면 'sungkhd'는 "언어는 생명력이 있어 항상 변하게 마련인데 굳이 실용성이 없는 한문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정해 강요할 필요가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eo1020'은 "선택과목의 폭을 넓히자는 의도가 변질돼 사교육비를 늘리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폐지-부활을 반복하다 보면 일선 교육현장에 혼란만 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동선 기자kdenis@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