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가치 1% 떨어지면 주가 1% 내려

중앙일보

입력

엔화가치가 3년만의 최저치인 달러당 1백30엔을 넘으면서 국내 증시에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대신증권이 1992년부터 올해 11월까지 엔.달러 환율과 국내주가지수 움직임을 분석한 결과 달러 대비 엔화가치가 1% 하락할 경우 종합주가지수는 0.96%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통신업 지수하락률이 2.09%로 가장 높았고 전기전자 1.24%, 증권 1.2%, 화학업종 0.95%,운수장비 0.87%, 철강및 금속이 0.78%로 나타났다.

일본과 수출 경쟁이 치열한 업종들의 주가 하락폭이 컸지만 은행(0.81%)이나 서비스(0.82%) 등 내수업종들의 주가도 덩달아 빠졌다. 엔화가 약세를 보일때 주가가 오른 업종은 하나도 없었다.

대신증권 김영익 투자전략실장은 "세계경제가 안 좋은 상태에서 엔약세가 겹쳤다"며 "과거 경험상 엔약세는 2개월의 시차를 두고 국내증시에 영향을 미친 만큼 내년 '1월 효과'의 발목을 잡을 공산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말부터 외국인 주식 순매수와 경기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해온 국내증시는 엔 약세로 큰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일단 외국인들은 환차손을 우려해 직.간접 투자자금을 줄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아르헨티나 금융위기로 그동안 국제 투자자금이 몰리는 반사이익을 누려왔으나 환율이 불안해질 경우 외국인 순매수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 현대증권은 "엔화가치가 10% 하락할 경우 우리나라 실질경제성장률은 0.3%포인트 떨어지고 경상수지도 10억달러 악화된다"고 밝혔다. 외국인의 이탈은 물론 내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희석시켜 주가를 큰 폭으로 끌어내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엔화약세가 증시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원화약세로 수출이 개선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압도하고 있다.

엔약세는 국내 자금흐름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증권거래소 관계자는 "원화가치의 동반약세로 금리가 오르고 물가가 상승할 경우 시중 자금이 은행예금과 증시에서 이탈해 부동산으로 몰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철호 기자 newst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