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분양권' 겨냥 성남 위장전입 러시

중앙일보

입력

수도권 마지막 노른자위인 경기도 성남시 판교신도시에 대한 아파트 우선분양 자격이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고시일인 26일 현재 성남지역 거주자로 제한되면서 우선분양을 노린 전입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분양에 당첨될 경우 당장 얻을 수 있는 프리미엄을 기대한 위장전입일 가능성이 커 당국이 실사에 나서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25일 성남시에 따르면 판교가 택지개발예정지구로 발표된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수내.정자.서현.야탑동 등 분당지역 6개동의 하루평균 전입자 수가 평소 80명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난 2백30명으로 나타났다.

분당 정자1동의 경우 하루평균 10건이었던 전입신고가 21,22일 이틀 동안 각각 38건이 접수됐으며 금곡동의 경우 하루 30건에서 지난 21일엔 63건, 22일엔 97건으로 늘어났다.

이들 전입자의 80%는 서울.용인.일산 등에서 옮겨온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이 성남지역에 전입자가 갑자기 늘어난 것은 전체 아파트 물량의 30%가 지역 거주민에게 주어져 당첨확률이 높은 우선분양 자격을 얻어 막대한 시세차익을 노리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

판교지역 S공인중개사 나학권(羅學權.52)씨는 "판교 주변 땅값은 현재 2백20만~2백30만원까지 치솟는 등 이미 오를대로 올라 거래가 거의 없는 대신 시세차익을 남기기 위해 아파트로 눈을 돌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판교에 아파트가 당첨되는 순간 프리미엄이 중대형의 경우 최고 5천만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부동산업계에 나돌고 있다.

K공인중개사 김진환(金鎭煥.41)씨는 "33평형 이상은 최소 3천만~5천만원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성남시는 최근의 전입자 대부분이 위장전입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26일부터 지난 9월 이후 성남시로 전입한 전 가구를 대상으로 실제 거주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성남시 전체 동사무소 직원을 동원, 전입자를 일일이 방문해 실제 거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주민등록을 직권말소하기로 했다.

위장전입자가 늘어나면 우선분양 경쟁률이 높아져 실제로 거주해온 지역주민들이 피해를 볼 수 있는 데다 학교 배정 등에 혼선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판교지역에는 신도시 개발계획이 발표된 후 이같은 위장전입 외에도 보상비를 노리고 몰래 주거용 비닐하우스를 만드는 사례가 많아 관할 분당구청은 올 초부터 청원경찰 5명을 동원, 임시초소까지 만들어가며 강제철거 등 단속을 벌이기도 했다.

특히 일부에서는 벼락치기식으로 주거용 비닐하우스를 만든 뒤 2천만~3천만원을 받고 임대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판교지구에는 ▶아파트 1만4천5백가구▶단독주택 3천4백가구▶연립주택 1천8백가구 등 모두 1만9천7백가구가 들어설 예정으로 이중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30%인 4천3백가구가 성남지역 거주자에게 우선분양된다. 2003년 개발계획 수립 후 토지보상에 착수, 2005년 12월 일반분양에 들어가 2009년부터 입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재헌.김선하 기자 jgian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