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속의 컴퓨터 셀빅! 내것으로 만들자 -1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근 PDA 사용자들이 부쩍 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PDA 중 가장 인기가 많은 것은 제이텔사가 개발한 셀빅(CellVic)으로, 한글 필기 인식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인기의 비결이다. 셀빅의 기능과 사용법을 알아보기로 하자.

VQF 파일 만들기

1. PDA를 능숙하게 사용하려면 내외 구조를 잘 이해해야 한다. 여기서는 셀빅의 외관과 각 버튼의 기능을 살펴보겠다.

2. 터치패널/LCD
셀빅의 화면으로 160×160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LCD로, 터치펜이나 손끝으로 화면을 찍어서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문자 인식을 통해 글자를 입력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① 전원 버튼(백라이트 버튼)
셀빅의 전원을 켜거나 끌 때 사용하는 버튼이지만, 사용 중에는 화면을 밝게 해주는 백라이트 버튼으로도 사용된다. 셀빅이 켜진 상태에서 전원 버튼을 약 2초간 누르고 있으면 백라이트가 자동으로 켜진다.

② 미리 지정해 놓은 순서대로 셀빅 응용 프로그램을 임의로 변경할 하거나 실행할 때 사용한다.

③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한다.

④ 프로그램 관리자에서 아이콘 선택을 이동하거나 리스트 보기 화면에서 레코드 선택을 이동할 때 사용한다. 또는 한 화면에서 모든 내용을 볼 수 없어 화면을 위/아래로 이동할 때 사용한다.

⑤ 프로그램 관리자에서 선택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서 화면을 전환할 때 사용한다.

⑥ 115Kbps의 적외선 통신 포트를 이용해 셀빅 또는 IrDA가 장착된 프린터·노트북 등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셀빅끼리 명함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⑦ 스타일러스 펜
터치스크린에 글씨를 쓰거나 메뉴를 선택할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펜. 본체에 꽂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⑧ 시리얼 포트
PDA의 데이터를 PC와 동기화하거나 PDA를 휴대폰과 연결해 통신할 때 사용하는 포트로서, 외장형 모뎀, PCS, 또는 디지털 방식의 휴대폰을 연결하게 된다.

⑨ 명암 조절 다이얼
셀빅을 사용할 때의 외부 밝기에 따라 이 다이얼을 이용해 화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⑩ 리셋 버튼
셀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때나 모든 기능을 초기화할 때 사용한다.


셀빅과 배터리가 만났을 때

셀빅에 처음 전원을 넣으면 셀빅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설정 화면이 나온다. 자칫하면 쉽게 넘어가게 되는 부분이지만, 여기서 설정을 제대로 해놓지 않으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므로 신중하게 해야 한다.

좌표 조정

1. 좌표 조정은 터치스크린과 인식 패널 좌표를 설정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단계로, 정확히 설정하지 않으면 셀빅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2. 스타일러스 펜으로 우측 화면 상단에 나타나는 표식의 중앙을 정확하게 누른다.

3. 우측 화면 상단의 표식이 사라지고 좌측 화면 하단에 다시 표식이 나타난다. 역시 표식의 중앙을 누른다.

4. 마찬가지로 좌측 화면 하단에 나타난 표식의 중앙을 정확히 누른다.


날짜 조정

1. 좌표 설정이 끝나면 기본 설정 화면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오늘의 날짜를 입력한다.

2. 기본 설정 대화상자에서 날짜 박스를 선택한다.


3. 대화상자에서 표시 형식을 선택해 날짜 표시 방법을 선택한다.


4. 변경하려는 숫자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선택해 반전시킨 다음, 위/아래 선택 버튼을 이용해 '년-월-일'을 설정한다.


자료제공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