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단계적 개발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29개 민간 출자사가 한발 물러섰다. 코레일이 주장해 온 ‘단계적 개발 방식’을 수용할 뜻을 처음으로 밝혔다. 부도를 막고 사업을 정상화하겠다는 것이다. 공이 코레일로 넘어갔지만 코레일이 드림허브 측의 자금마련안을 거부하는 등 사업이 정상화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주체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는 18일 “코레일이 단계적 개발에 따른 사업 수지 분석, 서부이촌동 보상 시기 등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출하면 단계적 개발을 전격 수용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드림허브의 1대 주주이자 토지주인 코레일은 그동안 현재 추진 중인 통합개발 방식은 현실성이 없다며 사업을 나눠 진행하는 단계개발을 주장해 왔다. 반면 코레일을 제외한 드림허브 민간 출자사 29개 사는 사업 기간 증가로 사업 수지가 악화된다며 이에 반대해 왔다.

 하지만 코레일이 개발 방식 변경을 요구하며 토지대금 담보(반환확약서) 제공 등 추가 지원을 끊으면서 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놓이자 민간 출자사가 뜻을 굽힌 것이다. 드림허브는 당장 다음 달 12일 돌아오는 금융이자 53억원을 내야 하는데 금고에 있는 돈은 수억원 정도다.

 드림허브 관계자는 “사업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출자사의 뜻”이라며 “코레일이 관련 자료를 21일까지 제출해 주면 22일 드림허브 이사회에서 사업 변경과 관련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사업 정상화는 아직 멀어 보인다. 코레일은 드림허브의 이 같은 자료 요청에 대해 “단계적 개발을 검토하는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개발 방안은 드림허브가 재검토하면 되는 것이지 코레일에 개발 계획을 요구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코레일은 이날 경영전략위원회를 열어 드림허브가 요청한 3073억원 규모의 ABCP(자산유동화기업어음) 발행을 위한 담보 제공 안건을 만장일치로 불가 결정했다. 다만 코레일은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오는 21일 열리는 이사회에서 최종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황정일 기자

용산국제업무지구 서울 용산구 한강로 3가 일대 용산철도정비창 부지(44만2000㎡)와 서부이촌동(12만4000㎡)을 합친 56만6000㎡ 부지에 국제업무 기능을 갖춘 대규모 복합단지를 건설하는 사업. 2016년 말까지 111층 높이의 랜드마크빌딩을 포함해 쇼핑몰·호텔·백화점·아파트 등 67개 빌딩을 지을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