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인맥만이 능사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매력자본
캐서린 하킴 지음
이현주 옮김, 민음사
432쪽, 1만6000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재능이 많고 머리가 뛰어나며 좋은 교육도 받았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40대에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 될 수 있었을까.

 영국 런던 정경대의 사회학 교수인 지은이의 해석은 색다르다. 키 크고 잘 생긴데다 호리호리하고 건강해 보이며 옷까지 잘 입는다는 점이 오바마를 대통령의 만드는 결정적인 힘이었다고 주장한다. 사실 미 대통령은 대부분 키가 컸거나 최소한 라이벌보다는 컸다.

 실제로 매력 있는 사람은 사회·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키가 크면 소득이 10~20% 늘어난다. 매력적인 남성은 평균보다 14~28%, 매력적인 여성은 12~20% 더 많이 번다. 비만일 경우 보통 체중인 사람보다 14% 수입이 적다. 전체 노동인구의 소득에서 10~20%는 외모 프리미엄 때문이라는 게 지은이의 설명이다.

 이처럼 매력은 지성과 전문가로서의 지식, 그리고 경험까지 보완해준다. 주변 사람을 친구·연인·동료·고객·의뢰인·팬·유권자·지지자·후원자로 만든다. 이 때문에 사생활에서는 물론 정치·스포츠·예술·비즈니스에서도 더 많이, 더 빨리 성공을 거둔다.

 지은이는 이를 매력자본(erotic capital)이라 명명했다. 아름다운 용모와 성적 매력에 자기표현 기술과 사회적 기술이 합쳐진 것을 가리킨다.

 이젠 돈·지식·경험·인맥만 개인의 자본이 아니다. 자격증·경력 같이 ‘무엇을 아느냐’의 시대에서 네트워킹, 즉 ‘누구를 아는가’로 진화하더니 이젠 ‘어떤 매력이 있는가’를 따지는 세상이 됐다는 것이다.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가 말한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에 이은 인간의 4번째 개인 자산이 매력자본이라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매력자본을 만들 수 있을까. 저자는 아름다운 외모, 성적 매력, 건강함· 유머가 섞여 나타나는 활력, 옷이나 헤어스타일, 향수를 포함한 사회적 표현력, 그리고 섹슈얼리티 6가지 요소가 결합돼 나타난다고 말한다. 매력은 주어진 게 아니라 가꾸기 나름, 즉 노력의 문제라는 것이다.

채인택 논설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