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한국 16강행 최상의 조편성은?

중앙일보

입력

한국 축구의 순탄한 16강진출을 위해 희망하는 최상의 조합은 이뤄질 수 있을 것인가. 다음달 1일 2002월드컵축구대회의 서막을 알릴 조추첨식이 부산에서 열려 그동안 길고도 숨막혔던 예선의 장벽을 뛰어넘은 32개팀의 본선 대진표를 짠다.

안방에서 열리는 이번 대회에서 사상 첫 16강 진출의 오랜 꿈을 달성하려는 한국으로서는 조편성 여하에 따라 어느 정도 목표달성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기에 부담이 덜한 팀들과 한 배를 타기를 기대하고 있다.

32개 본선 진출국이 4개그룹(1-4그룹) 8개조(A~H)로 나뉘는 조편성에서 공동개최국 한국(D1)과 일본(H1), 전대회 우승팀 프랑스(A1)가 각각 1그룹(톱시드)에 배정된 상태다.

FIFA랭킹 순위와 최근 성적을 1그룹 배정 기준으로 삼아온 전례를 감안할 때 한.일, 프랑스와 함께 1그룹에 속하게 될 팀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독일,잉글랜드(스페인)가 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세계 정상급 팀들과는 1라운드에서 피하게 돼 일단 개최국의 프리미엄을안고 들어가는 것. 다음 2-4그룹 배정에 대륙별 안배 원칙을 적용하면 2그룹에는 아프리카 5개팀과북중미 3개팀, 3그룹에는 1그룹에 속하지 못한 유럽의 11개 팀 중 8개팀이 배정될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4그룹에는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아시아팀과, 남미 파라과이와에콰도르 및 우루과이-호주간 플레이오프 승자, 그리고 유럽의 나머지 3팀이 배정되는 시나리오가 나온다.

이같은 시나리오와 지역 안배의 원칙을 적용할 때 브라질,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독일, 잉글랜드(스페인)와 아시아의 중국, 사우디아라비아는 한국의 32강전 상대에서 제외된 가운데 「유럽 2팀과 북중미 또는 아프리카 1팀」 또는 「유럽 1팀.아프리카 또는 북중미 1팀.남미 1팀」이 한국과 한 조를 이룰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16강 진출 가능성을 높이는 최상의 대진은 어떤 모습일까? 우선 한국의 `유럽 징크스'를 감안할 때 유럽이 1팀만 배정되는 쪽이 훨씬 유리하다.

유럽 본선진출팀 모두 한국보다 한 수 위의 기량을 자랑하지만 터키(34위), 슬로베니아(26위), 벨기에(33위) 등이 그나마 해 볼 만한 상대로 꼽힌다.

이중에서도 터키는 48년만에 본선 무대에 나서지만 힘있는 플레이에다 정교함까지 더해져 돌풍을 일으킬 복병으로 꼽히는 만큼 슬로베니아와 벨기에가 파트너로 정해지는 것이 더 나은 카드. 또 북중미의 미국(19위) 또는 코스타리카(29위), 남미에서는 첫 본선진출국 에콰도르(38위)가 한국과 한조로 편성된다면 국내 축구인들이 꿈꾸는 최상의 대진이도출될 전망이다.

이런 희망과는 달리 유럽 2팀과 아프리카 또는 남미 1팀이 한국과 같은 조에 편성될 경우 네덜란드, 벨기에, 멕시코 등이 낀 '98프랑스월드컵 당시 '최악의 조편성'과 유사한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16강 진출을 가시화할 수 있느냐, 아니면 예전과 마찬가지로 험난한 가시밭길을헤쳐가야 하느냐의 운명을 가를 순간이 머지않았다.(서울=연합뉴스) 김상훈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