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매립지 절반 10년후 농업도시로 개발 추진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동아건설로부터 사들인 김포매립지 4백87만평 가운데 절반만 농지로 쓰고 나머지를 관광.레저단지와 국제업무단지.유통단지 등으로 만드는 '농업도시'개발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농림부는 25일 재정경제부.기획예산처.건설교통부.환경부.산업자원부.문화관광부.인천시 등 관련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가 참가한 실무 협의회를 열어 의견을 들은 뒤 내년 1월까지 개발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국토연구원이 마련한 김포매립지 개발계획(잠정)에 따르면 매립지의 51%인 2백52만평을 채소.화훼단지와 간척미(米) 생산지 등 농업용지로 개발하도록 돼 있다. 나머지 땅에는 ▶테마파크.골프장 등 관광.레저단지(86만평)▶국제 전시장을 갖춘 국제업무 단지(23만평)▶화물터미널 등 물류유통단지(24만평)▶생물과학 등 첨단 연구단지(6만평) 등을 조성하는 방안이다.

농림부는 특히 김포매립지가 인천국제공항과 가깝고 매립지 위쪽에 경인운하가 건설되면 교통이 편리해질 것으로 보고 8만~10만명의 인구를 수용하는 96만평의 주거단지도 조성할 방침이다.

농림부는 10년 동안 사업을 하면서 매립지를 분양해 2조3천8백억원의 수입을 올리면 개발비용을 빼고도 2천3백80억원 정도의 이익을 남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승 농촌개발국장은 "농지로 돼 있는 매립지의 절반을 용도변경해야 하지만 정부기관인 농어촌기반공사가 개발 주체로 수익금 전액이 국고로 들어가기 때문에 용도변경에 따른 특혜 시비가 생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농림부의 개발계획에 대해 환경부는 농지로 보전하자는 입장인데 비해 건교부.산자부는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농업용지의 비율을 더 낮추자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철근 기자 jcom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