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불제' 인터넷쇼핑몰 확산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 가운데 물품 하자나 배송 지연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늘면서 중소규모 전문 인터넷 쇼핑몰 업체를 중심으로상품을 먼저 받은 후 요금을 지불하는 `후불제'가 확산되고 있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소비자가 배달된 상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거나 일정 기간 사용해 본 뒤에 대금을 지불함으로써 쇼핑몰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물품 대금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후불제가 자리잡고 있다는 것. 꽃배달 서비스 사이트 114플라워(http://www.114flower.com)는 사업 초기부터 후불제를도입해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장민순 사장은 "배달사고나 제품 하자로 인한 고객 불만을 예방하고 다른 쇼핑몰 업체와 차별화된 마케팅을 위해 후불제를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렛홈쇼핑(http://www.oulet.co.kr)을 운영하는 ㈜웹누리도 상품을 받은 다음날까지대금을 결제하는 후불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웹누리측은 "제품 가격의 변동이 심한 컴퓨터 품목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 대해 후불제로 요금을 받는다"고 말했다.

마이그로서리(http://www.mygrocery.co.kr)는 기존의 선불제와 함께 `배송시 결제' 방식으로 물품 대금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품 배송을 맡은 직원이 휴대용 신용카드 결제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신용카드 결제시에도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없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 인터파크(대표 이기형 http://www.interpark.com)도 여행경비의 20%를 예약금으로 지불하고 여행에서 돌아온 뒤 5일 안에 나머지 금액을 지불하는 후불제 여행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별도의 물품 배송 조직을 가진 업체의 경우 후불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서울시내 지하철역 40여곳에서 상품을 받아가도록 운영하는 도서.음반 전문 쇼핑몰 행복한아침(http://www.morning365.co.kr)이나 소비자가 사는 곳과 가장 가까운 쌀가게에서 소비자의 집까지 배달하는 형태로 운영되는 농산물 쇼핑몰 푸른들유통(http://www.3653.co.kr)이 대표적인 예. 또 ㈜모나미에서 운영하는 문구전문 인터넷쇼핑몰 메이(http://www.maay.co.kr)를 비롯해 쓰리에스샵(http://www.3sshop.com), 아싸마트(http://www.assamart.com) 등 쇼핑몰에서 후불제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