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경기, 기업활동보다 소비향방이 관건"

중앙일보

입력

미국경기 회복의 관건은 기업활동보다는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민간소비의 향방에 달려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금융센터는 6일 `NAPM(전미구매관리자협회)비제조업지수 상승과 미국경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테러사태에 따른 불안심리 확산과 대량해고에 따른 실업증가로 여행, 레저 등을 중심으로 미국의 소비가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작년초 이후 최근까지 주가하락에 따른 미국가계의 자산손실이 3조4천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이를 보충하기 위해 저축을 늘릴 경우 소비지출은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금융센터는 "이에 따라 미국 정부와 의회가 400억달러 이상 재정지출을 확대하고 600억∼750억달러 규모의 법인세 감면 등을 계획하고 있다"면서 "과감한 경기부양 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경우 내년 1.4분기 또는 2.4분기부터 미국의 경기가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민간부문의 소비축소와 저축확대 추세가 지속될 경우 경기부양 정책의 효과가 제한돼 경기회복이 늦어질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정책금리 인하로 실세금리가 하락하더라도 자동차, 주택 등 내구재의 소비가 확대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세금환급과 세금감면 등에 따라 증가하는 가처분소득을 대부분 저축함에 따라 소비진작의 효과가 크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서울=연합뉴스) 유의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