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하면 딱 떠오르는 게 없어 … 안철수는 뭘 생각하는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16일 제주에서 열린 희망콘서트에서 영화 ‘써니’의 춤을 따라 추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원장과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한데 묶어 “딱 떠오르는 게 없다”고 말했다. 두 사람은 박 전 위원장의 유력한 경쟁 상대로 꼽히고 있다.

 이들에 대한 평가를 요구받은 박 전 위원장은 먼저 “안 교수님 같은 분과 같이하면 좋다고 생각하는데…”라고 운을 뗐다. 하지만 “사실 좀 잘 모르겠다. 뭐를 생각하고 계신지…. 그분도 나름대로는 생각하실 텐데 뚜렷하게 알려진 게 없어 뭐라 말씀드리기가 조심스럽다”고 했다.

 이어 문 고문에 대해선 “글쎄요…. 그분의 정치철학에 대해 말씀드리려면 (문 고문이) 강조하시는 게 먼저 떠올라야 하는데, 야권 후보 전체가 어떤 현안·정책이 생길 때마다 ‘박근혜 때리기’로 막 비판을 하시니까 솔직히 (그분이 주장하시는 게) 딱 떠오르지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국에서 볼 때 대한민국 정치는 박근혜 때리기가 전부 아니냐, 이런 생각이 들 정도다. 그분들에게 저보다는 국민을 바라보고 비전이나 철학으로 국민 평가를 받으셨으면 좋겠다”고 했다. 상대 후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는 듯했으나 안 원장과 문 고문에 대해 사실상 ‘비전이 뭔지 잘 모르겠다’며 ‘혹평’을 한 셈이다.

 경선룰 논란 끝에 불참을 선언한 같은 당 정몽준·이재오 의원을 끌어안을 수 있겠느냐는 질문엔 “본선으로 가면 당 전체가 하나의 캠프가 되지 않겠느냐. 그때는 저와 생각이 다른 분들도 당의 소중한 자산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해 주실 것이고 저도 그렇게 노력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야권 주자 중 “어떤 사람이 가장 힘들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누가 제일 쉬운지, 두려운지는 여기서 말씀드리면 문제가 될 것 같고, 전략적으로도 문제가 되지 않을까”라고 받아넘겼다.

 이날 박 전 위원장은 자신의 인사 스타일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박 전 위원장은 “한나라당 대표 시절부터 어떤 직책이 있다면 이 일을 최고로 잘할 인사가 누굴까가 저의 첫 번째 고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당이) 무슨 가족끼리 하는 가게도 아니고, 인사가 만사란 말이 정말 맞다”며 “잘하고, 도덕적으로도 불신 받지 않고, 그 분야에서 고개를 끄덕일 만한 분이 있어야 일도 잘되고 국민 화합도 잘된다”고 강조했다. “사람을 잘 찾는 건 항상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도 했다. 다만 현재의 경선캠프가 집권에 대비한 ‘섀도 캐비닛’이 아니냔 물음엔 “지금 어떻게 짜여 있고 그런 건 아니다”고 부인했다. 그는 기자들에게 늘 국회 복도에서 선 채로 의견을 밝히는 이유에 대해선 “일부러 오시라고 해서 말하는 게 조금 주제 넘기도 하고, 당 지도부를 제쳐 놓고 나서는 게 아니지 않으냐는 생각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꿈이 뭐냐’는 질문엔 “어릴 땐 선생님이었는데, 대학 갈 때는 산업역군으로 발전에 기여해 보고 싶다는 야심만만한 꿈을 꿨다. 그래서 (서강대) 전자공학과를 택했는데 갑자기 어머니가 돌아가시는 바람에 인생행로가 확 바뀌었다. (지금은) 국민을 행복하게 만들었을 때, 저도 정치한 보람이 있고 나중에라도 눈을 감을 수 있지, 아니면 정치인생이 다 헛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이소아 기자

■ 관련기사

박근혜 "5·16, 아버지로서는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
"대통령 친인척 비리, 상설특검법 도입해야"
민주당 "쿠데타가 최선의 선택이라니…" 맹공
이재오 "5·16, 권력 찬탈한 쿠데타"
김문수 "박근혜 '5·16 발언' 헌법에 안 맞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