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내 이름 파는 건 다 거짓말 친인척 비리 상설특검 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박근혜(얼굴) 새누리당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대통령 친인척 비리에 대해서는 상설 특검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회장 박보균 중앙일보 대기자)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법조계에선 올케인 서향희 변호사에 대해 말이 많은데 어떻게 가족들을 관리할 것이냐”는 질문이 나오자 이같이 답변했다.

 정권마다 되풀이되는 대통령 친인척 비리 사건과 관련, 박 전 위원장은 “2005년에도 특검제 상설화법을 제출했는데 당시 여당(열린우리당)이 반대해 통과를 못 시켰지만 지금도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 고 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 비리나 주변 비리를 막기 위해 특별감찰관 같은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 출마 선언 때 ‘어떤 경우든 제 이름을 팔아서 하는 경우는 다 거짓말이다. 속지 않으셔야 한다’는 말을 자신 있게 드렸다”는 말도 했다.

 그는 5·16에 대해선 “너무 가난한 나라로서 힘들게 살았고 안보상 굉장히 위험한 위기상황에서, 돌아가신 아버지(박정희 전 대통령)로선 불가피하게 최선의 선택을 한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만 반대의견을 가진 분들도 있기 때문에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기보다 국민과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하지 않는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신헌법에 대해서도 “유신으로 일어났던 국가 발전전략과 관련해선 역사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했다.

 다만 “그 시대에 피해를 보고 고통 겪은 분들과 가족 분에게는 항상 죄송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고 진심으로 사과를 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2007년 7월 한나라당 대선 경선 당시 후보 검증 청문회에선 “(5·16은) 구국을 위한 혁명이었다고 생각한다”고 했었다.

 정책 현안과 관련해 그는 “초우량기업으로 세계적인 자랑거리가 된 인천공항공사를 서둘러 매각하는 건 안 되고, 우리금융지주 매각도 서두르지 말고 다음 정부로 넘겨야 한다”며 이명박 대통령 임기 내 처리에 반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