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NPO·한국의 NPO]

중앙일보

입력

〈NPO란 무엇인가〉에 따르면 NPO의 출현이란 공공 소비재들을 제공하는데 역부족일 수 밖에 없는 정부의 실패, 시장의 실패 영역이라는 틈새에서 시작을 한다.

저자는 현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NPO의 영역을 5개 분야로 나눈다.

의료보건, 교육, 입양 탁아등 사회서비스, 시민단체, 문화영역 등… 무척 다양한 편이다.

기자가 관심있게 본 것은 상식과 다른 NPO의 수입원 구조. 시민부분이니까 정부의 재정지원이 전무하겠지 싶은데, 웬걸 미국의 경우 NPO 수입의 36%가 정부의 지원금이고, 그것보다 많은 54%가 대학등록금등 NPO의 자체수입으로 충당한다. 민간 기부는 10% 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향후 기업의 기부문화 활성화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 기부문화는 기업의 사회참여의 한 전략으로 인식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2차대전 후 베이비 붐 세대들의 상속유산 규모를 1조 달러로 추정하고, 이중 상당대목이 재단 설립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바로 이 대목은 한국 상황에도 기대해 봄직한 일이다.

우리의 경우 근대적 부의 창출은 불과 한 세대 전후에 이뤄졌고, 따라서 이들이 상속 역시 이제 막 진행되고 있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국의 NPO, NGO란 정부의 실패, 시장의 실패에 대한 보완 개념 이상의 그 무엇일 수 있다는 발견이다.

후기산업사회의 새로운 정치 사회학을 탐색하는 사회학자 울리히 벡이 말한대로 기성 제도권 정치 보다 앞서는 위상을 가진, 적극적인 하위(下位)정치를 국내 NPO에게서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싶은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