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광주교육청, 교사 채용 시험을 조작하다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사립학교 교사 5명을 공립 교사로 특채하는 과정에서 특채 시험 점수를 조작해 합격자를 바꿔치기한 것으로 교육과학기술부 감사에서 드러났다. 공립 음악교사로 특채하려고 점찍어뒀던 교사가 불합격한 것으로 채점되자 교육청 공무원들이 심사위원들을 다시 불러 채점표를 조작했다고 한다. 파쇄기에 넣어 말끔하게 처리된 줄 알았던 원 채점 기록이 업무 담당자의 PC에 고스란히 저장돼 있는 바람에 비리의 꼬리가 잡힌 셈이다. 공무원과 외부의 교장·교사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이 뽑을 사람을 애초부터 정해놓고 공모했다는 점에서 사안의 심각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공무원과 심사위원들이 손발이 안 맞는 바람에 들러리 세웠던 사람에게 높은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나자 점수를 조작해 탈락시켰다고 하니 교육청이 교육기관인지 비리 집단인지 분간이 안 될 지경이다.

 이번 특채 비리엔 고약한 냄새까지 풍기고 있다. 이번에 특채된 교사들은 전원 전교조 출신이고, 전교조 광주지부장 출신인 장휘국 교육감의 선거 캠프에서 활동한 교사들도 있으며, 이에 비해 떨어뜨린 교사는 비(非)전교조라는 점이다. 이번 특채가 공개경쟁을 가장한 채 ‘자기 사람 심기’식 엽관인사(獵官人事)라는 비난이 나와도 교육청은 할 말이 없게 됐다.

 게다가 특채 실무 책임자인 교원인사과장은 고교 교감으로 일하다 장 교육감 취임 이후 전격적으로 과장에 발탁됐으며 이번 일에 대해 “모두 내가 했다”는 내용의 답변서를 14일 교과부에 보냈다. 교육계에서 꽃보직이라는 인사과장에 올라 특채 비리에 관련돼 있다면 교과부는 관련자들을 즉각 사법당국에 고발하고, 고위 인사들의 개입이나 묵인이 있었는지 밝힐 수 있게 해야 한다.

 무엇보다 미래의 인재를 길러내는 교단의 인사는 이편 저편을 가르지 않고, 능력과 열정을 갖춘 교사들을 우대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번 광주교육청 인사비리는 교단에서 열심히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무력감을 안기는 범죄행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