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Cs + MIKT‘성장 시장’이 희망이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06호 07면

짐 오닐(54) 회장은 1995년 수석 통화 이코노미스트로 골드먼삭스에 합류했다. 2001년 ‘세계는 더 강한 브릭스를 고대한다(The World Needs Better Economic BRICs)’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브릭스’라는 투자 아이디어를 처음 제시했다. 지난해 9월 자산운용부문 회장이 됐다. [블룸버그 뉴스]

2001년 12월, 당시 골드먼삭스 세계경제조사팀의 책임자였던 짐 오닐 골드먼삭스자산운용 회장은 ‘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란 용어를 만들었다. 그 이후 브릭스는 시장의 화두로 자리잡았다. 이후에도 골드먼삭스는 프레임 전쟁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지속적으로 키워드를 내놓고 있다. 2005년 ‘넥스트11(한국·멕시코·베트남·이란·이집트·터키·인도네시아·필리핀·파키스탄·방글라데시·나이지리아)’, 지난해말 ‘믹트(MIKT, 멕시코·인도네시아·한국·터키)’라는 신조어를 발표했다.

단독인터뷰 ‘브릭스’ 창시자 짐 오닐 골드먼삭스자산운용 회장

오닐 회장은 이번에 다시 ‘성장 시장(Growth Market)’이라는 용어를 선보였다. 그는 “브릭스 4개국을 신흥시장(Emerging Market)으로만 부르기 어렵다”며 “브릭스와 믹트의 8개국을 묶어 성장 시장으로 부르겠다”고 말했다. 중앙SUNDAY는 최근 오닐 회장과 e-메일 인터뷰를 했다.
-‘성장 시장’이 뭔가.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하는 국가를 지칭하기 위해 우리가 만든 표현이다. 기존처럼 ‘선진 시장(Advanced Market)’과 ‘신흥 시장’으로 단순 구분해서는 세계 경제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신흥시장으로 분류되던 나라들 가운데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 이상인 국가를 따로 골라, 성장 시장으로 부르기로 했다.”

-어떤 나라가 성장 시장에 속하나.
“브릭스 4개국과 넥스트11개국 중 경제규모가 큰 믹트 4개국 등 모두 8개국이다. 이들 국가는 인구가 연령대별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해 있고, 생산성이 향상될 가능성도 크다. 세계 평균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다.”

-성장 시장 멤버가 바뀔 수도 있나.
“그렇다. 지금 성장 시장에 속한다고 해서 영원히 그렇다는 의미는 아니다. 시간이 지나면 다른 나라도 성장 시장에 포함될 수 있다. 전 세계 GDP의 최소 1% 조건을 충족하면 된다. 나이지리아나 필리핀은 30년 후엔 성장 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2050년께 선진 시장으로 발돋움할 것이다.”

-기준이 왜 전 세계 GDP의 1%인가.
“성장 시장은 시장 규모가 충분히 크고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투자자와 기업들이 투자나 개발에 나설 수 있고 결정적인 순간엔 출구전략을 쓸 수 있다. 이런 원칙에 따라 브릭스와 넥스트11개국의 경제규모, 향후 10년간 성장률, 생산성 성과 등을 면밀히 살폈다. 그래서 나온 게 세계 GDP의 최소 1%다. 약 6000억 달러다. 이 정도면 투자자나 기업들이 별다른 제약 없이 투자할 수 있는 충분한 규모라고 생각한다.”

-한국이 2050년에 선진 시장이 될 것으로 본 이유는.
“한국은 성장 시장 8개국 중 가장 먼저 선진 시장에 진입할 것이다. 한국은 수출과 내수가 튼튼하다. 임금 상승률도 견실한 수준이다. 한국의 수출 산업은 특히 브릭스 시장에서 강세다. 브릭스 국가들의 중산층이 두터워지면서 한국의 수출시장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은 선진 시장에서 수요가 줄고, 원화가 강세를 보이더라도 브릭스 국가들 덕에 성장을 이어갈 것이다. 전자·자동차·철강 등 산업의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성장을 뒷받침해 줄 것이다.”

-신흥국 중 성장 시장에 진입할 후보로 나이지리아와 필리핀을 꼽았다.
“이들 두 나라는 인구가 많고, 비교적 젊다. 인구구조는 성장의 중요한 변수다. 생산성과 정부 정책도 중요하다. 이들 국가는 이런 조건을 충족시켰다. 대체로 넥스트11개국은 앞으로 성장 시장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가능성이 현실화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어떤 국가의 GDP가 어찌될지를 예측하려면 무엇을 주목해야 하나.
“성장환경지수(GES, Growth Environment Score)를 중요하게 본다. GES는 ‘골드먼삭스 글로벌 ECS(경제·상품·전략) 리서치’가 전 세계 180개국을 대상으로 생산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 가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해마다 산출하는 지표다. 한국의 GES는 성장 시장 8개국 중 가장 높다. 가장 빨리 선진 시장 진입을 예상하는 근거다.”

-GES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
“성장 시장에 속한 8개국 가운데 인도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모두 GES가 평균 이상이다. 인도만 평균을 밑돈다. 인도가 세계 GDP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성장 시장으로 분류될 수 있을 만큼 크지만 GES가 낮다는 건 투자자뿐 아니라 인도 정부에도 경고가 될 수 있다.”

-성장여건이 좋지 않은 게 최근 인도 증시의 약세와 관련 있나(※인도 증시는 최근 3개월간 7% 가까이 떨어졌다).
“그렇지는 않다. 인도는 인플레이션과 국제수지 적자 문제에 대처하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인도의 기본 성장여건은 여전히 견실하다. 현재 인도의 연간 GDP는 1조6000억~1조7000억 달러다. 10년 전에는 5000억 달러에도 못 미쳤다. 앞으로 인도가 중국보다 더 가파르게 성장할 수도 있다.”

-중국 한 나라가 전 세계 GDP의 9%를 차지한다. 중국을 성장 시장에 속한 한 국가로 보기보다는 따로 떼어놓는 게 맞을 듯 싶은데.
“아니다. 중국을 다른 성장 시장과 구분 지을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중국이 모든 면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사실이다. 중국의 경제 규모는 프랑스나 영국의 두 배가 넘는다. 브릭스란 용어를 처음 내놓은 2001년엔 중국의 연간 GDP가 1조5000억 달러로 프랑스나 영국에 비해 적었다. 중국이 올해 10%의 경제성장을 달성한다면, 이건 마치 인도네시아나 터키 같은 나라가 하나씩 더 생긴다는 얘기다.”

-앞으로는 성장 시장에 투자하면 되는 건가.
“(※오닐 회장은 즉답을 피했다.) 성장 시장은 세계 경제의 주요 동인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특별한 관심을 끌게 분명하다. 브릭스와 넥스트11개국은 모든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투자 테마가 될 것이다.”

-신흥시장에서 자금 유출이 심상치 않다(CNN머니에 따르면 최근 3주간 130억 달러 이상이 신흥시장에서 빠져나갔다). 투자 트렌드가 바뀐 것인가.
“신흥시장으로 분류되는 국가들 대부분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해결하기 위해 성장 위주의 정책에서 긴축으로 선회했다. 이런 정책 변화가 주식시장에 압력으로 작용하고, 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단기로 봐서는 안 된다. 신흥시장 대부분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견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흥시장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장기적 시각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