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평균 자산 2억7268만원 … 부동산 2억661만원 … 75% 차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2억3005만원. 빚을 갚고 남는 진짜 재산이 이 정도라면 우리나라에서 중간 수준의 가구다. 상위 20%에 드는 부자는 평균 7억6727만원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처음 조사한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평균 자산은 2억7268만원, 부채는 4263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둘을 합친 순자산은 2억3005만원이었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산 가운데는 부동산이 4분의 3을 차지했다. 자기 집 1억1564만원, 땅 3740만원 등 부동산 자산은 2억661만원으로 전체의 75.8%에 달했다. 금융자산은 5828만원으로 21.4%에 불과했다.

 부채는 금융부채가 2884만원으로 전체의 67.6%를 차지했다. 32.4%는 임대보증금이었다. 금융부채 가운데 담보대출은 2329만원으로 전체 금융부채의 81%에 달했다.

 전체 가구의 59.5%는 빚을 지고 있었다. 빚을 지고 있는 가구의 평균 빚은 7165만원이었다. 소득이 많을수록 빚을 진 가구 비율이 높아 하위소득 1분위 가구는 28.8%, 상위소득 5분위 가구는 75.3%가 빚을 지고 있었다.

 또 순자산이 많은 가구일수록 빚을 진 가구의 비율도 높았다. 순자산 1분위(하위) 가구는 45%, 5분위(상위) 가구는 70.4%가 빚을 졌다. 우리나라의 순자산은 상위 10% 계층이 전체의 47.2%를 점유하고 있다. 하위 50%는 8.9%를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순자산 10분위 점유율은 핀란드(45%)와 영국(45%), 이탈리아(42%) 등보다 높지만 미국(71%), 스웨덴(58%), 독일(54%) 등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자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순자산 지니계수는 0.63이었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자산 배분이 더 평등한 상태다. 우리나라는 캐나다(0.75), 미국(0.84), 영국(0.66)보다 낮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체로는 중간쯤이다.

 가구주의 연령대별로 보면 자산보유 가구의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가장 많은 3억5848만원이었다. 빚이 있는 가구의 비율은 40대가 가장 높은 71.1%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가구의 자산은 평균 3억6312만원, 비수도권은 1억9439만원이었다. 순자산은 수도권이 평균 3억305만원인 반면에 비수도권은 1억6614만원이었다.

 소득이 낮을수록 대출금리가 높은 신용대출에 더 의존했다. 신용대출 비중은 1분위가 15.6%인 반면에 5분위는 9.5%에 그쳤다. 반면 담보대출 비중은 1분위가 38.7%로 가장 낮고, 소득이 많을수록 높아져 5분위는 57.1%를 차지했다.

 설문조사에서 빚이 없는 가구는 1년 뒤에도 빚이 없을 것으로, 빚이 있는 가구의 절반 가까이는 빚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소득 4~5분위의 고소득 계층에 총부채의 71.2%, 총자산의 66.7%가 집중된 점과 재무건전성 등을 고려하면 가계부채는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다만 빚을 줄이려는 노력이 이어질 경우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결과는 통계청이 금감원·한은과 함께 지난 2월 28일 기준으로 1만 표본가구를 조사해 얻은 것이다.

허귀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