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노벨 과학상 겨냥한 젊은 과학자 지원책 기대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정부가 노벨 과학상을 겨냥해 젊은 과학자에 대한 집중 지원에 나설 모양이다.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가 어제 이명박 대통령에게 건의한 ‘젊은 과학자 육성 방안’은 노벨 과학상 수상이 가능한 기초과학 연구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20~30대 젊은 과학자의 순수과학 연구를 국가 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한 ‘프레지덴셜 펠로우십(대통령 장학금제)’ 도입이 눈길을 끈다. 방안대로 5년간 일자리와 연구비가 지원된다면 신진(新進) 연구인력들이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20~30대 여성 과학자를 위한 파트타임 정규직 제도 도입도 출산과 육아로 인한 연구 단절을 막을 수 있는 조치로 환영할 만하다.

 노벨 과학상은 수상(受賞)한 연구자만의 영예(榮譽)가 아니다. 그 연구자가 속한 나라의 과학기술 수준뿐만 아니라 국제화 정도와 국가경쟁력을 말해주는 국제적 지표다. 그러나 G2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할 정도로 국가적 위상이 높아진 한국은 아직 노벨 과학상이 없다. G20 회원국 중 노벨 과학상이 없는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멕시코·브라질·사우디아라비아·인도네시아·터키 등 6개국뿐이다. 이웃 일본만 해도 올해 배출된 두 사람을 포함해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15명이나 된다. 100년 가까운 세월 동안 꾸준히 기초과학 지원이 뒷받침된 결과다.

 한국도 노벨 과학상에 한 걸음 다가서려면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특단의 대책과 과감한 투자가 있어야 한다. 특히 싹이 보이는 창의적 연구를 하는 젊은 과학자를 발굴해 파격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젊은 과학자 육성 방안’은 방향을 옳게 잡았다고 본다. 최근 20여 년간의 노벨 과학상 수상자 137명 가운데 66명이 30대의 연구 성과로 상을 받은 것만 봐도 그렇다. 관건(關鍵)은 예산이다. 정부는 관련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 가급적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지원을 해야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차제에 젊은 과학자를 제대로 키워내 노벨 과학상 수상의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