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뒷말 많은 수상자 선정 기준 … 노벨평화상의 정치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중국의 반체제 인사인 류샤오보(劉曉波)가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을 계기로 수상자 선정 기준을 싸고 국제사회에서 미묘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노벨평화상의 취지는 분쟁 해결 등 인류 평화 증진에 기여한 사람에게 상을 수여하는 것인데 서방 측이 이를 다른 목적을 위해 활용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노벨평화상 수상자 선정 과정에 정치적 의도가 섞여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류샤오보가 선정된 것과 관련, 중국법상 혐의가 인정된 죄인에게 상을 주는 것은 민주화와 인권을 명목으로 한 내정간섭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벨평화상을 둘러싼 논란이 이는 것은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해 10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수상자로 선정됐을 때도 말이 많았다. 대통령이 된 지 채 1년도 되지 않은 오바마가 주목할 만한 업적을 쌓지도 못한 상황에서 상을 받은 건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특히 노벨평화상 후보 마감이 2월 1일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오바마가 수상자 후보에 선정된 것은 대통령이 된 지 불과 2주일도 되지 않는 때였다.

당시 노벨위원회는 “핵무기 없는 세상을 위한 오바마의 비전과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지만 의구심을 떨쳐내기에는 설득력이 부족했다. 이미 일궈낸 업적 평가가 아닌 기대감을 갖고 상을 줘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1989년 노벨평화상을 받은 달라이 라마의 경우도 상의 본래 취지와 거리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 티베트를 중국으로부터 독립시키기 위해 망명 정부를 수립하고 독립운동을 펼쳐온 그의 활동과 인류의 평화 증진 사이에 공통점을 찾기 쉽지 않은 이유에서다. 이로 인해 이때에도 중국 정부는 달라이 라마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강도 높게 비난했다.

최익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