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경 분의 1초’ 시대 열었다…‘아토초 연구’ 3인 노벨물리학상 수상
3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가 선정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3명. 왼쪽부터 피에르 아고스티니(70), 페렌츠 크라우스(61), 안 륄리에(65). 사진 노벨위원회 올해
-
아토초 시대 열었다…노벨 물리학상 륄리에 등 3인 수상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 노벨 위원회는 3일(현지시간)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피에르 아고스티니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교수, 페렌츠 클라우츠 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교수
-
[최준호의 사이언스&] 10월이면 반복되는 ‘노벨상 앓이’…100년을 이어온 ‘한탄’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논설위원 ‘폭발약을 발명한 스웨덴인 노벨 씨가 창설한 상금으로, 매년 물리학과 화학·의학·문학, 그리고 세계 평화에 노력한 인사에게 팔천 파운드씩 증여
-
커리코·와이스먼, 면역반응 피하고 안정성 높이는 백신 기술 고안
커리코(左), 와이스먼(右)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 연구자들이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
[사설] 돌아온 노벨상 시즌, 부러워만 하는 한국
━ 수상자 발표 시작됐지만 유력 한국 후보 없어 ━ 기초연구 지속 투자와 연구 풍토 개선이 우선 노벨상 시즌이 시작됐다.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따르면 2일 생리의학상
-
'코로나 백신 어머니' 노벨생리의학상 받았다…美교수 공동수상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 받는 연구자들이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스웨덴 카롤린
-
[속보] mRNA 코로나 백신 개발 주역 2명…노벨생리의학상 수상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기여한 헝가리 출신의 커털린 커리코 바이오엔테크 수석 부사장과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 의대 드루 와이스먼 교수가 차지했다. 스
-
100년전부터 10월이면 '노벨상 앓이'…한국 왜 노벨상 집착하나
━ [최준호의 사이언스&] 노벨 과학상의 궁금증 스웨덴 출신 유전학자 스반테 페보(왼쪽)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장이 지난해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
[이번 주 핫뉴스] 5일 유인촌ㆍ김행 인사청문회…노벨상 2일부터 발표 (2~8일)
10월 첫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서울 지하철 ‘무료 재승차’ 10분→15분 #해외 소재 금융기관, 국내 외환시장 참여 #양도성예금증서(CD) 수익률 #애플, 아이폰 15시리즈
-
시험대 오른 전략목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중국 역대 국가지도자 마오쩌둥, 덩샤오핑, 시진핑(왼쪽부터) [중앙포토] 일전에 시진핑 시대 중국의 세 방향 전략에 대해 소개한 적이 있다. 이번엔 1949년 공산당 정권이 대륙
-
[월간중앙] 특별 인터뷰 | 윤석열 대통령의 스승 송상현 서울대 명예교수의 ‘시대 진단’
“대한민국이 생존하자면 적(敵)과 동지 구분해야” ■ “가짜 뉴스, 허위 정보 방치하면 누가 와도 대한민국 통치 어려워” ■ “윤 대통령 직설 화법은 소신대로 맺고 끊는
-
“세 지도자 보여준 관용 필요한 때”
‘평화와 통합의 세계 지도자:김대중·브란트·만델라’ 국제학술회의가 각계 인사와 석학들의 참여 속에 12일 서울 에서 열렸다. 김경록 기자 평화와 통합. 아시아·유럽·아프리카의 세
-
"김대중·브란트·만델라의 용서와 화해, 통합의 축복 선물했다"
평화와 통합. 아시아ㆍ유럽ㆍ아프리카의 세 지도자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빌리 브란트 전 독일(서독) 총리,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을 하나로 묶는 키워드다. 브란트
-
러·벨라루스·이란, 노벨상 시상식에 못온다…노벨재단 초대 취소
러시아·벨라루스·이란의 대사들이 올 연말 스웨덴에서 열리는 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하지 못하게 됐다. 노벨상을 주관하는 노벨재단은 당초 이들 국가를 초청할 계획이었으나 스웨덴 등의
-
후세인과도 담판...미국인 80명 데려온 '깡패담당 차관' 짜릿한 삶
북한·이라크·쿠바 등에 억류된 미국인 석방을 위해 노력했던 빌 리처드슨 전 주유엔 미국대사. 로이터=연합뉴스 북한에 여러 차례 방문해 억류된 미국인 석방과 북핵 문제 등을
-
노벨평화상 받은 언론인, 러시아가 '외국 스파이'로 지목했다
러시아 언론인 드미트리 무라토프가 지난 6월 8일 모스크바에서 러시아군의 명예를 반복적으로 훼손한 혐의로 기소된 인권단체 의장 올레그 오를로프의 재판에 참석하고 있다. AFP=연
-
[오병상의 라이프톡]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1963년 흑인의 투표권을 요구하는 워싱턴 행진 당시 링컨 기념관에 모인 시위대 25만명에게 '나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란 연설을 하
-
[삶의 향기] 비둘기와 사람, 생명 무게는 같아
금강 스님 중앙승가대 교수 폭염에도 산중 나뭇가지 끝자락에 바람이 일고, 바위 틈새에서 샘물이 솟는다. 한여름에도 에어컨 없이 시원한 바람을 느끼고, 정수기 없이 마음껏 샘물을
-
[글로벌 아이] 캠프 데이비드 기념 촬영의 대가
김필규 워싱턴특파원 2년 전 봄에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캠프 데이비드로 한·일 정상을 부르고 싶어했다. 일본 초계기 위협, 무역 갈등으로 양국 관계는 최악이 이어지던 상황이
-
인하이광 필봉에 반한 장제스, 국민당 기관지 주필 맡겨
━ 사진과 함께하는 김명호의 중국 근현대 〈783〉 샤쥔루의 부친은 ‘큰 사고 칠 놈’ 이라며 인하이광과의 결혼을 반대했다. 가출한 샤는 대만행 마지막 배에 올랐다. 대만
-
[책꽂이] 여전히 미쳐 있는 外
여전히 미쳐 있는 여전히 미쳐 있는(샌드라 길버트·수전 구바 지음, 류경희 옮김, 북하우스)=19세기 여성 작가들을 조명한 1979년 저서 『다락방의 미친 여자』로 이름난 두 영
-
美제재 받는 中국방장관, ‘핑퐁외교’ 키신저 만나 "세계 번영 함께 지키자"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국방장관)이 미국 외교계의 거두인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미중 관계 안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전 미국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 1923년
-
광복회 수익 사업 일절 않고, 임원들 무보수로 근무 결의
━ 이종찬 신임 광복회장 이종찬 신임 광복회장이 광복회관에서 진행된 중앙SUNDAY와의 인터뷰에서 “신뢰받는 광복회로 거듭나겠다”며 각오를 밝히고 있다. 김상선 기자 “저
-
청소년 기후활동가의 마지막 '학교 파업'…"싸움은 이제 시작"
스웨덴의 기후활동가 그레타 툰베리의 마지막 '학교 파업'. 로이터=연합뉴스 스웨덴의 기후활동가 그레타 툰베리(20)가 졸업을 하며 마지막 '학교 파업'에 나섰다고 10일(현지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