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돌보기, 시설에만 맡기면 국가 부담 엄청나 가정 간호 늘리고 원격의료·세금 정책 지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4면

“20년 뒤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10억 명에 육박해 8명 중 1명이 노인이 됩니다. 특히 많은 나라에서 85세 이상 초고령자가 급격히 늘어납니다. 이 같은 ‘연령 파동(Age Wave)’ 현상이 한국을 비롯한 모든 선진국에 쓰나미처럼 몰아닥칠 것입니다.”

지난 15일 중앙일보 주최, 시니어파트너스·교보생명 주관의 ‘2010 시니어트렌드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한 미국 ‘홈인스테드시니어케어’ 요시노 나카지마 부사장(사진)은 “인류에 불어닥친 이런 새로운 도전에 국가 차원의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홈인스테드시니어케어는 비의료계어(노인을 위한 식사·가사·투약·교통 편의·심부름·신체 수발을 도움)를 전문으로 하는 시니어케어 회사. 세계 14개 국가 15개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회사로 성장했다.

그는 고령화의 물결을 극복하려면 먼저 노인 케어(돌봄)의 개념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노인은 시설에서 타인의 의지에 의해 여생을 연장하기보다 가정에서 본인의 삶을 적극적으로 살길 원합니다. 따라서 노인 케어는 현재의 시설 중심에서 가정과 지역사회 위주로 바뀌어야 합니다.“

실제 미국에선 85세 이상 노인 4명 중 3명이 너싱홈을 이용하지 않으며, 아일랜드와 같이 선진화된 고령시설을 갖춘 나라에서도 1800여 개나 되는 빈방이 있다는 것이다.

시설 중심의 노인 케어는 국가 부담을 크게 늘린다. 영국의 경우 국가지원 시설을 위해 1조4000억원을 쏟아 부을 정도.

한국은 1990년 65세 이상 노인의 72%가 자녀 세대와 함께 거주하고 있었지만 2007년에는 50%로 줄었다. 가정보다 시설에 모시는 노인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과학기술과 국가의 관심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캐나다는 2011년까지 휴대전화를 통해 개인의 건강기록을 관리할 계획입니다. 이 같은 원격의료는 노인이 집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기반기술을 제공합니다.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원격의료가 입원일수를 25일, 입원율은 19%나 감소시켰습니다. 인텔이나 GE같은 대기업들은 홈헬스 분야의 기술개발에 막대한 연구비를 투입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정책을 통해 홈케어를 장려해야 한다. 그는 스웨덴·포르투갈·아일랜드·프랑스는 어르신이 집에서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세법을 이미 조정했다고 말했다.

 “스위스는 너싱홈을 짓기 위해 더 이상 건물에 투자하지 않습니다. 대신 홈케어를 받도록 장려합니다. 영국은 개인이 홈케어 서비스를 받으면 정부에서 비용을 지원합니다. 독일은 군대 갈 나이가 되면 입대 대신 노인케어 서비스직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그는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도 가정 중심의 케어가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노인은 소외받는 계층이 아닌 동반자이며 이들이 머물 곳은 시설이 아닌 집입니다. 홈케어를 어렵게 하는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국가가 지원해야 합니다.”

 고종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