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이슈] 용산 미군기지 활용 아이디어 만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미군이 나간 서울 용산은 어떻게 변할까.

용산기지 서북쪽, 즉 후암동과 이어진 2만4000평(캠프 코이너 자리)은 미국 대사관을 비롯한 미국 외교단지가 들어선다. 그러나 우리 정부에 반환되는 80여만평의 활용안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

활용 방법을 놓고 다양한 의견이 나와 있다. 우선 전체를 숲이 우거진 공원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반면 용산역 등 철도와 가까운 교통의 요충지인 만큼 개발잠재력을 활용해 서울의 부도심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문제는 비용이다. 더구나 평택으로 옮겨가는 미군기지 이전 비용 등도 우리가 부담해야 한다. 반환부지 일부를 개발하면 그 수익으로 이전 비용을 일부 충당할 수 있다. 전체를 공원으로 만들 경우 서울시나 국가가 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한다. 물론 국민 세금이 재원이다.

총리실 주한미군대책단이 서울대 공학연구소 도시연구센터에 의뢰해 마련한'용산기지 반환부지 활용과 재원조달방안'은 공원 중심의 복합개발이 가장 타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센터가 관련 분야 교수와 연구원 등 전문가 76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69%가 일부는 개발하고 나머지는 공원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보인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도시연구센터는 용산 반환부지를 ▶공원▶복합 업무공간▶부지 경계부 정비공간▶지하공간으로 개발하는 안을 제시했다.

우선 부지의 중심에서 남산과 한강으로 이어지는 남북은 녹지축으로 조성토록 했다. 공원은 생물서식이 가능토록 하고 물과 식물 중심의 자연친화적인 공간으로 만든다는 내용이다.

복합 업무공간은 한강로변을 중심으로 부지의 서쪽에 조성된다. 이 공간은 동북아 금융.업무 중심지로서의 성격도 갖게 된다. 녹지 공원과의 조화를 위해 적정한 용적률로 개발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였다.

부지 동쪽의 경계부 공간은 주변과의 연속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필지구획.기반시설 정비가 필요하며, 동쪽의 한남동.이태원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디자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산 부지 중심은 동쪽과 서쪽을 이어주는 대규모 지하공간을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반환부지의 지상을 공원화하는 대신 시민이 필요한 시설들은 지하공간에 넣도록 했다. 동시에 공원 아래로 한강로와 이태원으로 동서가 연결되는 도로를 지하화했다. 지하공간에는 쇼핑몰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을 도입해 '매력적 공간으로 조성하는'것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덧붙였다.

그러나 이 같은 복합개발방안에 대한 반대도 만만치 않다. 문국현 생명의 숲 국민운동 공동대표는 "용산 미군기지가 이전한 곳은 전체를 광역 도시 근린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대표는 "서울에 녹지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용산 반환부지는 녹지로 이뤄진 공원으로 만드는 게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신혜경.김민석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