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로 보는 세상] 狼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동물의 어떤 자세나 행위 등을 표현하는 한자 단어는 많다. 그중 하나가 낭자(狼藉)다. 늑대를 일컫는 한자가 낭(狼)이다. 이 동물은 대개 조그만 동굴에 보금자리를 만든다. 보통 마른 풀을 그 밑에 깐(藉) 뒤 생활한다. ‘낭자’는 원래 늑대가 웅크리고 앉았던 자리를 지칭했다.

늑대가 일어나면 그 마른 풀 자리는 크게 엉클어진다. 그 상태가 ‘낭자하다’는 형용을 얻은 것이다.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 말미에 “고기와 과일안주가 다 하고, 술잔과 그릇이 이리저리 흩어져 있다(肴核旣盡, 杯盤狼藉)”는 표현으로 유명해진 단어다.

수달(水獺)이라는 동물은 보기보다는 욕심꾸러기다. 잡아들인 물고기를 물가 바위 위에 죽 늘어놓는 버릇이 있는데, 이 모습을 ‘수달이 제사 지낸다(獺祭)’로 표현한다. 나중에는 쓸 데 없이 욕심을 부려 미사여구(美辭麗句)를 남발하는 문장을 가리키는 말로 발전했다. 재빨리 뛰는 행동에서는 토끼가 우선 눈에 띈다. 사람이나 천적(天敵)이 다가가면 잽싸게 뛰어 달아나는 행동을 토탈(兎脫)이라고 한다. 도망치는 행위에서는 쥐도 단골손님이다. 조금이라도 이상한 기척을 감지하면 바로 구멍 같은 곳으로 숨어드는 쥐의 행위는 ‘서찬(鼠竄)’이다. 찬(竄)이라는 글자는 구멍을 뜻하는 혈(穴)과 쥐를 의미하는 서(鼠)를 한데 섞어 만들었다.

이런저런 일을 많이 몸에 지니고 있는 상태를 표현할 때는 고슴도치(蝟)가 나온다. 등에 잔뜩 날카로운 바늘을 싣고 있는 모습은 위집(蝟集)이라고 부른다. 잡다한 일이 많이 모이는 상황을 일컫는다.

이번 인사청문회의 후보자들이 그랬다. 마침내 다수의 후보자가 낙마(落馬)해 ‘유혈(流血)이 낭자’해졌고, 각자가 부린 재물(財物) 욕심 때문에 ‘수달이 제사 지내는 모습’을 떠올리게 했다. 의원들의 날카로운 지적을 피하려 했던 자세는 토끼와 쥐를 닮았다. 일을 참 많이도 벌였다는 점에서는 고슴도치도 연상시킨다. 그러나 정략(政略)적인 목적에서 상대를 마구 몰아친 일부 의원의 태도도 결코 반갑지만은 않다. 정파(政派)의 이해에 입각해 청문 대상자를 잡아내렸다고 너무 좋아할 일은 아니다. 환호작약(歡呼雀躍)할 모습에서 우리는 참새(雀)의 가벼움을 읽을 수 있다. 시쳇말로 ‘새 된다’는 얘기다.

유광종 중국연구소 부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