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대기오염 더 악화시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열섬현상 방지 대책=전문가들은 열섬 현상을 막기 위해선 도시를 개발할 때 고층건물군(群) 사이에 충분한 바람 길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넓게는 개발계획도 수도권을 감싸고 있는 그린벨트 등 광역 녹지축이 중간중간 잘리지 않도록 세워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외부 공기가 쉽게 흘러들고 나가면서 도심의 열기를 식히고 오염물질을 흩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도심 내 녹지를 유지·확대하고, 건물옥상의 정원화 작업 등을 병행해 냉각 효과를 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도시홍수 방지 차원에서 새로 건물을 지을 때 토지의 일정 비율을 나대지로 유지하도록 하는 조례 제정을 추진 중이다. 환경 전문가들은 이 조례가 만들어지면 녹지 훼손이 줄어들고 옥상 녹화가 늘어 결국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서울시 도시계획과 관계자는 "기존 시가지에서는 바람 길을 만들기가 어렵지만 앞으로 재개발 지역이나 새로 건설하는 연면적 1만㎡ 이상의 대형 건물에 대해선 환경영향평가 등을 통해 바람 길을 확보토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열섬현상이 수도권 일대의 도시화 개발 속도와 비례해 빠르게 확산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도시 내부에서 발생한 열기가 바깥으로 빠져 나가지 못해 더욱 뜨거워지고, 대기 오염은 오염대로 심해지는 것이다. 최근 잦아진 도시지역 열대야(熱帶夜)도 그로 인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분당을 중심으로 한 서울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를 수행한 서울여대 송영배 교수는 "일산신도시와 같은 한강 이북지역도 마찬가지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열섬지역의 확대는 결국 중심에 위치한 서울 지역의 대기오염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가뜩이나 전체 면적의 절반 정도가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덮인 서울이다.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는 태양에너지를 반사하면서 녹지보다 10배 이상의 열을 흡수·저장한다.

실제로 서울시와 기상청은 '강남지역이 강북보다 섭씨 1도가 높다'든가, '영등포·청량리·강남지역의 최저 기온이 주변보다 2∼3도 가량 높다'는 등의 조사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여기에 분당·일산에 이어 판교신도시와 같은 주변 개발이 계속 이어져 열섬지역으로 포위될 경우 바람의 소통이 막혀 온도는 더욱 올라가고 오염물질은 갇히게 된다. 결국 시민들에게 피해로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의 미세먼지·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특별법 제정까지 추진하고 있으나 열섬현상이 생기면 그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