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창원시 역사 그리고 과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4면

타임캡슐은 높이 1m60㎝, 둘레 60㎝ 크기의 특수 스테인리스로 만들어졌다. 이 안에는 시정 방침, 마산시 전경 사진, 관내 기업체 현황 등 212점이 들어 있다. 행정구역 자율 통합 60주년이 되는 2070년 6월 개봉될 예정이다.

마산시의 발자취를 담은 타임캡슐 매설식이 6월 17일 시청사 뒤뜰에서 열렸다. 타임캡슐은 통합 60주년이 되는 2070년 6월 개봉될 예정이다. [마산시 제공]

창·마·진 3개 시는 삼한시대(가야)에 포상팔국 중 골포국이었다. 통합시 출범으로 다시 가야시대의 영역을 회복한 셈이다. 삼국 시대에는 신라의 굴자군(창원), 골포현(마산시), 웅지현·완포향(진해)으로 불렸다. 고려시대에는 3개 시가 의창현(창원), 회원현(마산), 웅신현·완포현(진해)으로 각각 불렸다.

창원이란 이름을 쓰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 창원과 마산이 합쳐져 창원도호부(1415년)가 생기면서다. 당시 진해는 웅천현이었다. 창원도호부는 다시 창원대도호부(선조 34년, 1601년)로 승격됐고, 고종 32년(1895년) 창원군으로 바뀌었다. 이때 진해는 웅천군과 진해군으로 나뉘어 있었다.

창원부가 창원군과 마산부로 바뀐 것이 일제강점기인 1914년이며, 진해는 진해면(1912년)으로 통합된 뒤 진해읍(1931년)으로 승격됐다. 1980년 4월 1일 창원군이 창원시로, 48년 8월 15일 마산부가 마산시로, 55년 9월 1일 진해읍이 진해시로 각각 승격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3개 시는 행정구역은 다르지만 이어져 있어 생활권이 동일하다. 동일 생활권, 역사적 한 뿌리를 바탕으로 3개 시의 통합은 20여 년 전부터 논의돼 왔다. 통합은 현 정부들어 급물살을 탔다.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10월 국정연설과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지방행정체제 개편과 중앙권한의 지방이양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도시 간 글로벌 경쟁이 심화하고 있으나 ‘경직적·분절적 행정구역’이 자치단체의 자립기반과 경쟁력을 저해한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재정지원, 광역·지역개발사업 우대 지원 등 다양한 지원계획을 발표해 자치단체가 자율통합할 여건을 만들었다.

3개 시의 시장이 정부에 자율통합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통합은 가속도가 붙었고, 3개 시의회와 경남도의회가 찬성함에 따라 통합이 사실상 확정됐다. 정부는 이에 따라 창원·마산·진해시(가칭) 설치에 관한 법률을 입법예고하고 국회에 제출해 올 3월 본회에서 통과됐다.

논란이 있었으나 역사성·정체성·대외신뢰성 등을 고려해 통합시 명칭은 창원시로, 통합시 임시청사는 창원시청사로 결정됐다. 그러나 통합시 새 청사 소재지는 주민 갈등의 불씨로 남아 있다. 통합시 출범 관련 의결기구인 통합시준비위원회가 1순위로 진해 옛 육군대학 부지와 마산종합운동장을, 2순위로 창원 39사단 부지를 제시한 뒤 최종 결정을 통합시의회에 미룬 때문이다. 마산·진해 주민들이 “새 청사마저 창원에 빼앗길 우려가 있다”며 벌써부터 유치 운동을 벌이고 있다. 박완수 시장이 이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한편 통합 창원시가 출범하고 정치권에서 행정체제 개편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경남발전연구원 이정석 박사가 10일 한국지방정부학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경남도 내 20개 시·군(통합 창원시 포함)을 7개 권역으로 묶는 통합안을 제시, 눈길을 끌었다. 국회의원 선거구, 통근·통학권 등 20여 지표를 계량화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진주·사천·남해·하동 ▶통영·거제·고성 ▶거창·함양·산청·합천 ▶함안·의령 ▶밀양·창녕 ▶김해·양산으로 묶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주장이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