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e&] 네명의 디자이너, 서울패션위크 통해 세계로 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22면

글=이도은 기자 사진=서울패션위크 제공

김석원
신사동 가로수길 작은 가게서 출발

“컬렉션을 한다는 건 브랜드를 다듬는 과정이에요. 시장의 반응을 들으며 단련이 됐죠. 그래서 뉴욕에 진출할 때도 별 무리가 없었어요.”

여성복 ‘앤디앤뎁’의 디자이너 김석원(40). 올해로 6년째 서울패션위크 무대에 섰다. 그간 뉴욕 컬렉션을 네 차례 열었고, 유럽·중동에까지 옷을 판다. 뉴욕엔 쇼룸이 생겼다. 서울 신사동 가로수길에 조그마한 매장을 낸 지 꼭 11년 만이다.

‘앤디앤뎁’은 아내 윤원정씨와 함께 만들었다. 둘은 미국 뉴욕 프랫(Pratt) 인스티튜트 패션디자인학과를 함께 다닌 동갑내기다. ‘결혼하자’는 말 대신 “우리 이름을 걸고 세계가 인정하는 브랜드를 만들자”고 했던 프러포즈는 꽤 유명한 일화다. 그들은 군더더기 없이 몸의 라인만 강조한 옷을 만들었다. 허리선을 가슴 아래서 잡아주고, 어깨를 둥글렸다. 당시엔 과장되고 실험적인 디자인이 대세였다. ‘로맨틱 미니멀리즘’이라는 브랜드 정체성은 서울컬렉션에 나가면서 더욱 분명해졌다. 여성복이 순항하자 지난해부터 남성복 라인도 만들었다. “명품 업체들도 세컨드 브랜드로 규모를 키워가죠. 언젠간 화장품·향수까지 만들어 볼 생각이에요.”

1 이번 쇼에선 거친 느낌의 마린룩을 등장시켰다. 지난해와 달리 스타일은 캐주얼해졌다. 변형된 재킷이 많은 것이 특징.

고태용 “이제 겨우 13개국에 팔렸을 뿐”

고태용(29)이 서울컬렉션에 처음 섰을 땐 27세였다. 역대 최연소였다. 대학을 졸업하고 ‘비욘드 클로젯’이라는 남성복 브랜드를 만든 직후였다. 실무 경험도 없었고 유학파도 아니었다. 하지만 ‘당돌한 신입 회원을 믿어보자’며 대한복식디자이너협회(KFDA)는 그를 무대에 세웠다. 직원도 사무실도 없이 옷 40벌을 만들었다.

반응은 기대 이상이었다. 한 업체에서 쇼가 끝나자마자 옷을 모두 사갔다. 클래식을 재해석’한 디자인이 신선하다는 평가도 받았다. 재킷과 베스트를 하나로 붙여 만든 상의, 체크를 쓰면서도 색깔을 화려하게 바꾼 옷들이었다. 디테일보다는 소재·패턴을 바꾸는 실험이었다. 드라마 ‘꽃보다 남자’ 주인공들도 그의 옷을 입었다.

지난해 뉴욕에서 열린 페어에 참가했다. 미국 외에도 일본·캐나다·러시아 등 전 세계 13개 매장 바이어들이 그의 옷을 사갔다. 모두 1억5000만원어치였다. 놀라운 성과였지만 그는 ‘실망했다’고 말했다. “세계에 나라가 몇 개인데 겨우 13개 나라에만 팔린 거잖아요.” 이제는 온라인 패션쇼를 열어 세계를 공략할 생각이다. 컬렉션에 나가는 것보다 브랜드를 알리기에 더 좋다는 전략에서다.

2 이번 쇼에선 아메리칸 클래식을 선보였다. ‘30년 뒤에도 옷을 만드는 나’에서 영감을 얻었다. 울·헤링본 소재를 써 다소 거친 느낌을 냈다.

최범석
동대문 시장서 뉴욕으로 진출

최범석(33)은 동대문 시장 출신 디자이너다. 자기가 만든 옷을 팔았다. 단골도 꽤 됐다. 그런데 2001년 파리 컬렉션을 보고 생각이 달라졌다. 장사할 때와 다른 제대로 된 옷을 만들고 싶어졌다. ‘제네럴 아이디어’라는 브랜드부터 만들었다. 하지만 패션을 전공한 것도, 누구 밑에서 일해 본 적도 없었다. 당시 서울패션아티스트협회(SFAA) 회장이었던 박윤수씨가 포트폴리오도 없던 그를 무대에 세웠다.

그는 2003년 첫 쇼에서 캐주얼한 남성복을 선보였다. 이후 동대문에 연예인·스타일리스트들이 몰려들었다. 그제야 서울 압구정동에 매장을 냈다. 브랜드는 꾸준히 성장했지만 다른 욕심이 났다. 뉴욕으로 진출했다. 2009년 첫 컬렉션에선 반응이 신통치 않았다. 하지만 올해는 달라졌다. 외국 바이어와 기자들이 몰려들었다. 미국은 물론 일본·러시아에서도 사갔다. 300여 개 쇼가 열리는 뉴욕컬렉션에선 썰렁한 곳도 허다하다.

그는 올해 서울컬렉션에 3년 만에 다시 섰다. ‘스타 디자이너’로서 주최 측의 러브콜도 있었지만 스스로 국내 시장을 놓칠 수 없어서다. 그는 후배 디자이너들에게 말한다. “진부한 얘긴데요. 열심히 하면 기회는 꼭 생기더라고요.”

3 이번 쇼에선 햇빛에 비친 ‘프리즘’에서 영감을 얻었다. 빨강·검정·회색 등 다섯 가지로 전체 컬렉션 컬러를 제한했다. 대신 겹쳐 입기가 많이 필요한 옷으로 지루함을 피했다.

한윤주
전시용 고가 목걸이도 계약 쏟아져

지난해 봄 프랑스 LVMH그룹의 ‘프랭크 에 필스(FRANK ET FILS)’ 백화점 바이어가 서울패션위크를 찾았다. 상품을 진열해 놓은 페어 부스를 둘러보던 그는 옷을 사가려던 당초 계획을 바꿨다. 한윤주(44)의 액세서리를 본 뒤였다. 그는 당장 계약을 하고 아예 백화점에 입점시켰다.

한씨는 음식점 ‘콩두’의 대표로 더 알려진 인물이다. 원래 미국에서 액세서리 브랜드 사업을 했던 디자이너였다. 미련을 버리지 못해 2001년 서울 삼청동 음식점 밑에 ‘수작(秀作)’이라는 브랜드로 작은 매장을 냈다. 한국 전통에 뿌리를 두면서도 현대적인 액세서리를 만들었다. 오방색·금박·술장식 등을 모티브로, 금속체인·그물 등 감각적인 소재를 썼다. 사업을 하면서 별다른 홍보는 없었다. 이미 알고 지내던 해외 바이어만 조금씩 주문을 해가는 정도였다. 그러다 가게에 들른 서울시 패션위크 담당자의 권유로 지난해 처음 페어에 참가했다. 홍콩 백화점, 유럽·중동 부티크 바이어들이 찾아왔다. 전시용으로 놨던 고가의 목걸이에 계약이 쏟아졌다. 여세를 몰아 올해는 파리 프레타 포르테(기성복 박람회)에 나갔다. 뉴욕·파리 편집매장에 입점하는 것이 목표다.

4 이번 쇼에선 체인을 이용해 실로 짠 듯한 액세서리가 눈에 띄었다. 수작의 대표 디자인인 ‘입는 듯한 액세서리’도 선보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