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에선 인천이 4년 새 63% 올라 최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서울을 5개 생활권으로 나눠 보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으로 대표되는 동북권의 상승률이 63.9%로 가장 높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저평가돼 있던 곳이어서 상대적으로 지수의 오름 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강남 3구가 포함된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은 28.4%로 5개 권역 중 이 기간의 실거래가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하지만 최근 1년만을 놓고 보면 상황이 정반대다. 동남권이 10% 가까이 오른 반면 동북권은 1%대 상승에 그쳤다.

전국의 아파트 실거래가는 2006년부터 줄곧 상승하다 지난해 중반 이후 급락한 뒤 올 들어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역별 편차는 컸다. 개발 호재가 많았던 인천이 4년이 채 안 되는 기간에 62.9% 오른 데 비해 대구는 되레 7.4% 떨어졌다. 서울·인천·경기·전남 4곳은 40% 이상 뛰었지만, 광주·대전·강원·충북·충남은 상승률이 10%에 못 미쳤다.

실거래가 신고제가 시작된 뒤 지금까지 정부가 확보한 거래 가격 정보는 420만 건에 이른다. 이번 실거래가 지수는 이를 기초로 산정됐다. 미국·영국·스웨덴 등에서 주택가격지수를 낼 때 사용하는 반복매매 모형을 썼다. 그간 주로 사용된 KB국민은행의 지수가 시·군·구 단위의 자료까지 나오는 데 비해 실거래가 지수는 시·도 단위까지만 발표된다. 다만 서울의 경우 5개 생활권(도심·동남·서남·동북·서북권)별 자료까지 공개된다.


◆거래 시점서 발표까지 석 달=실거래가 지수의 가장 큰 약점은 거래 시점에서 발표까지 석 달이나 걸린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9월 통계까지만 나왔다. 계약 후 60일 이내에만 실거래가 신고를 하면 되기 때문이다. 주택산업연구원 권주안 선임연구위원은 “주택 시장의 흐름을 보다 정확히 알 수 있는 지표가 나왔다는 점에선 긍정적이지만 발표 시점이 늦어 보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동명공인 이형관 사장은 “연구기관 등에서 참고자료로 쓸 수 있을진 몰라도 소비자가 집을 사고팔 시기를 잡는 데는 별로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도 문제점을 안다. 국토부 관계자는 “실거래가 신고 기간을 줄이는 방안 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경우 거래 당사자나 부동산 중개업소의 부담이 늘어난다. 반발이 나올 수 있다는 뜻이다.

거래 동향을 자세히 반영한다는 게 항상 좋은 것만도 아니다. 부동산 시장이 꺾일 때는 급매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기 때문에 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폭락한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호황기에는 값이 뛴 재건축 아파트 등의 거래가 늘어 실제보다 폭등한 것으로 비칠 소지가 있다.

김선하·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