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계의 기대에 부응할 해답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남북 두 정상은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이 말했듯 '세계를 향해 해답을 줘야 할' 시기가 됐다.

두 정상은 그동안 양측의 속내를 모두 말할 수 있을 만큼의 단독회담을 했다고 본다.

첫날 공항에서 영빈관에 이르는 차중에서 긴 시간 비공식적인 첫 단독접촉이 있었고 이어 14일 오후에는 두 정상의 공식적인 단독회담이 있었다.

우리는 두 정상이 그야말로 세계가 기대하는 한반도 문제에 대한 해답을 주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두 정상의 회담에서는 평화정착, 남북경협, 이산가족 상봉, 사회문화적 교류 확대, 당국간 대화 등이 논의된다고 하니 사실상 남북간의 모든 현안이 거론되는 셈이다.

사실 그동안 중국 베이징(北京) 등에서 가졌던 고위 실무자급의 예비접촉 등에서 표출된 양측의 입장에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그러나 공항 영접에서 보인 파격적 환대나 어제 오후 열린 정상회담 초두의 격의없는 대화 분위기로 봐선 그동안 지지부진했던 남북 현안이 뜻밖에 타결될 수 있다는 기대를 품게 한다.

그러나 회담 분위기와 성과는 다를 수 있다. 회담의 실질적 성과를 위해 양측은 다음 몇가지를 유념해야 할 것이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회담에 임하는 양측의 기본입장이다. 지금까지 남측이 실질적인 협력의 확대를 통해 항구적인 평화체제에 이르는 방안을 협의하고자 했다면 북측은 통일과 분단, 자주와 민족대단합 등 명분론적인 문제들을 강조해 왔다.

그러나 우리는 양측이 지향하는 마지막 목표는 결코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분단해소와 통일은 우리 민족에겐 결코 뒤로 미룰 수 없는 지상과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이 사흘간의 회담이나 한번의 합의문으로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은 북측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남북 양측이 민족의 공동번영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들을 위해 먼저 서로 협력해 나가면서 정치군사적인 문제는 계속 논의해 나가는 병행적 방안을 취하는 것이 현실적 접근방식일 것이다.

따라서 두 정상은 큰 목표에 대해서는 한민족으로서의 정서적 합의를 확인한 만큼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협력방안에 대해 실사구시적인 방향에서 접근해 들어가기를 기대한다.

이런 차원에서 양측의 해결방안은 파격적 환대처럼 깜짝쇼가 돼서는 안될 것이다.

이산가족 상봉 문제는 결코 일회성 이벤트에 그쳐서는 안될 것이며 남북경협의 지속적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확실하게 합의돼야 한다.

이런 바탕 위에서 북측의 심각한 전력난을 해소하고 철도복구 등 필요한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지원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며 또 전세계의 투자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의 장치다. 이 문제에 관해서는 1백가지 선언보다도 구체적인 제도와 기구를 통한 실질적 보장조치가 중요하다.

남북이 상호 실체를 인정하고 연락사무소나 대표부 같은 당국간의 상시적 채널을 구축함으로써 군사적 충돌이나 긴장요인을 대화로 해소하는 창구를 갖추는 것이 긴요하다.

우리가 바라는 통일방식은 일거에 해치우는 '빠른' 통일이 아니라 제도적 장치로 이어지는 점진적 '바른' 통일이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이 서울을 답방한다면 두 정상이 합의한 평화의지를 전세계에 확인시키는 민족적 행사가 될 것이 틀림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