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금 지방에선] 마산과 소각장 공용 처리비 절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경남 마산시와 창원시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다음달 1일부터 소각장을 공동 사용한다. 창원시의 소각장에 마산시의 쓰레기가 들어오는 것이다.

소각장 공동사용은 지난해 4월 마.창 환경운동연합이 성명서를 발표하면서 추진이 시작됐다. 마산시가 소각장을 세우려 한다는 소식에 "창원시 소각장을 공동 사용하자" 고 제안했던 것이다.

소각장 공동사용이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 그동안 쓰레기 처리는 자치단체의 고유업무였다.

특히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뒤부터 쓰레기가 시 또는 구 경계를 넘어 처리되기는 더욱 힘들어졌다.

때문에 자치단체들은 관할구역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매립장.소각장 등 쓰레기 처리시설을 갖추는 것이 급선무였다.

하지만 '1 자치단체 1소각장' 정책은 현실적이지 못했다. 새로운 소각장을 세우려는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대가 많았기 때문이다. 비용도 만만치 않았지만 자치단체들은 소각장 건립을 밀어붙였다. 쓰레기 처리문제를 손쉽게 처리하려는 행정편의주의가 작용한 것이다.

마산.창원시의 소각장 공동 사용은 쓰레기 처리의 광역화를 위한 첫걸음이다. 국민의 혈세를 아낄 수 있는 대안이기도 하다.

마산.창원시의 인구는 1백만명. 시내버스가 두 지역을 한 노선으로 운행할 정도로 같은 생활권으로 운영된다. 이러한 여건에서 하루 처리용량 4백t인 창원 소각장이 있는데 3백t 규모의 소각장을 짓는 것은 예산낭비였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제동을 걸지 못했다. 소각장을 공동으로 사용하자는 주장은 공허한 메아리였을 뿐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경남도가 중재에 나섰고 창원시가 양보해 결실을 얻어낸 것이다.

이제 시민들은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고 분리배출을 실천해야 한다. 자치단체는 재활용 산업을 육성해 쓰레기의 자원화도 이끌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현재 5년으로 돼 있는 공동사용 기간을 늘릴 수 있고 영구사용도 가능하다. 이제 인근 자치단체들 사이에 문화예술회관.공설운동장 등 많은 사업비가 들어가는 시설 등에 대한 공동사용도 검토해볼 시기라고 생각한다.

박희자<마.창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