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 과학도시’ 내년 2월까지 법 개정 마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운찬 국무총리가 21일 중소기업중앙회 임직원 및 중소기업인들과 서울 관악산 산행을 하고 있다. 정 총리는 이 자리에서 세종시에 대한 구상을 밝혔다. 앞줄 왼쪽부터 정 총리, 배희숙 한국여성벤처협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장. [연합뉴스]

정부가 12월 말까지 마련하겠다던 세종시의 윤곽이 사실상 드러나고 있다. 정운찬 총리는 21일 “과학 콤플렉스(복합)도시를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인들과의 관악산 등반 중에 기자들과 한 문답에서다. 정 총리는 지난 18일 한국경제학회 회장단 초청 간담회에서 이미 ‘과학 콤플렉스 도시’의 개념을 설명했었다. 당시 정 총리는 “교육과 과학이 중심이 돼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지는 경제도시가 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이를 종합해 보면 ‘기업’이 아닌 ‘과학’과 ‘교육’이 중심이 되고, 거기에 자족 기능을 충족시킬 ‘경제 활동’이 더해지는 모델이 세종시의 대안인 셈이다. 과거 이명박 대통령의 핵심 대선 공약이던 과학비즈니스도시에 경제 기능을 더한 도시를 세종시에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실제로 세종시를 무엇으로 채울지도 가닥은 대부분 잡혔다. ‘과학’과 관련해선 ‘중이온 가속기’를 세종시에 설치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중이온 가속기’는 물질의 핵을 빛의 속도로 가속해 충돌시켜 ‘극미한 물질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기초과학 연구의 핵심 인프라다. 이 대통령은 2006년 세계 최대의 가속기를 보기 위해 스위스의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를 찾기도 했다.

세종시의 ‘교육’기능과 관련해선 서울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이 세종시 캠퍼스를 만드는 논의가 한창이다. 최근 세종시 TF팀을 꾸린 서울대의 핵심 관계자는 “공대의 제2캠퍼스나 경영대 일부를 옮기는 문제, 서울대 병원을 세종시에 새롭게 설치하는 문제는 정원 조정이나 실효성 검토의 문제가 있어 불투명하지만, 생명과학 또는 공학 관련 융합학과와 연구소를 세종시에 만드는 방안은 사실상 확정됐다”고 밝혔다.

정 총리도 21일 “기존 단과대의 세종시 이전을 위해 정원을 늘리는 것보다 융·복합 같은 학문을 새로 만들면 얘기가 좀 다르다”며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정 총리는 그러면서도 “서울대가 기능적으로는 (서울에) 있는 게 낫지만 종합적으론 궁극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해 융합학과나 연구소 신설 외에 ‘플러스 알파’를 서울대에 기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정부가 사활을 걸고 있는 기업 유치는 ‘교육’과 ‘과학’으론 부족한 도시의 자족기능을 채우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정부가 추진 중인 대안대로라면 정부부처 이전은 대안에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과 정치권 설득을 위해 결국 ‘과학·교육 도시’ 컨셉트에 어울리는 교육과학기술부 등 한두 개 부처는 옮겨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부 관계자는 “구체적인 세부계획을 포함한 세종시 대안을 12월 중순까지는 발표하겠다는 게 정부의 목표”라며 “이후 정치권과 대국민 여론수렴을 거쳐 내년 2월까지는 법 개정을 마친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