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체계 중심, 도로에서 철도로 대전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정부의 녹색교통 전략의 핵심은 도로 중심인 현재의 교통체계를 철도 위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전체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에서 차지하는 철도 비중을 2020년까지 50%로 높일 계획이다. 현재는 29.3%다. 주요 도시나 고속도로에는 혼잡통행료가 부과된다. 도심에 들어오는 차를 줄이고 먼 거리는 열차를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이런 정책을 통해 2020년까지 교통체계를 ‘녹색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교통 분야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2005년 대비 33~37%가량 줄이는 게 목표”라며 “연간 7조2000억원의 에너지 비용이 절약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철도 위주로 바꾼다=정부가 투입하는 SOC 투자액은 올해만 25조여원이다. 이 가운데 도로에 14조3000여억원(57.2%)을 투입하고 있다. 철도에는 7조3000억원을 쓰고 있다. 도로망 확충에 교통 정책의 방점이 찍혀 있는 것이다.

정부는 앞으로 이런 기조를 바꾸기로 했다. 철도에 더 많은 돈을 쓸 계획이다. 철도에 대한 투자액은 2020년까진 50%까지 단계적으로 높일 방침이다. 대신 도로에 대한 투자액은 40%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혼잡통행료 확대=도로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국가 전체 에너지의 21%에 이른다. CO2 배출량은 20%로 대부분 승용차가 내뿜는다. 정부는 현재 주요 터널 구간에 부과하는 혼잡통행료를 주요 도시나 고속도로로 확대할 계획이다. 국토부 도시광역교통과 임현택 과장은 “7대 광역시의 나 홀로 출·퇴근 차량이 전체 통행 차량의 79%나 된다”며 “승용차가 몰려CO2 배출량이 많은 지역을 선정해 혼잡통행료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신개념 교통수단 도입=열차의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을 2층으로 바꿀 계획이다. 현재 부산~서울 열차의 컨테이너 개당 운임은 40만원 정도다. 도로에 비해 3만~4만원이 비싸다. 기업들이 열차 대신 화물차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다. 하지만 2단 적재 열차를 운행하면 운임이 25% 줄어든다. 도로 수송에 비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CO2 배출이 거의 없는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시속 110㎞)나 버스와 철도의 장점을 결합한 ‘바이모달트램’ 등을 2012년까지 도입할 계획이다. 단거리 교통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현재 1.2%대인 자전거 수송분담률을 2020년까지 10%까지 높이는 방안도 추진된다.

장정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